강의노트

조회 수 16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집짓기.jpg

 

우리는 집에서 살아왔다. 현대건축이 들어오면서 아파트라는 주거형태가 자리를 잡았다. 아직도 도시계획차원에서 정비구역이 확정 되면 여지없이 대단위 아파트가 들어선다. 한옥이든 양옥이든 땅을 밟고 사는 주거형태는 점점 사라지고 있다. 아파트는 선분양으로 인기몰이를 한다. 분양이 잘된 단위평면은 다음 사업에 또 적용되고 아파트는 점점 획일화 되어가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똑같은 공간에서 획일화되는 우려를 낳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집을 건축물로 보지 않고 부동산으로 본다. 그래서 우리 집의 수명은 짧다. 공학적 수명보다 사회적, 경제적 수명으로 건축물을 판단한다. 사업성이 있어 돈이 된다면 곧 재건축으로 들어간다. 청와대와 문화재를 제외한 모든 건축물은 재건축 대상

인 듯싶다.

 

 

집을 짓는다는 것은 좋은 것이다. 집을 짓는다는 것은 그 집의 생활과 삶이 변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집에 살고 있는 구성원이 늘어나고 쓰임이 늘었으니 좋은 것이다. 반대로 식구가 줄거나 쓰임이 작아져도 헐어내거나 철거하지는 않는다. 다른 쓰임이 있는 사람에게 주기도하고 팔기도 한다. 이윤을 추구하면서 이것을 돈벌이로 하는 사람들이 생긴다. 소위 집장수라는 몇몇 사람들이 이윤을 극대화하면서 부실이 발생한다. 그 부실을 막으려고 법으로 규제를 한다. 설계 감리비를 덤핑가격으로 틈새를 파고드는 인허가사무실 건축사도 있다. 이렇게 집이 만들어지면 삶이 불편하고 집은 부실하게 되기 마련이다.

 

 

건축(建築)이란 말은 근대 일본에서 들어온 말이다. 집은 주거형태의 건축으로 한정하는 경우가 많지만 세우고 쌓는다는 건축(建築)이라는 말보다 집을 짓는다는 말이 정감이 있어 더 좋다. 흔히 건축은 살기위한 기계요, 삶을 담는 그릇이라 한다. 집을 보면 그집을 사용한 집주인의 삶을 엿 볼 수 있다. 반대로 집을 짓기 위해서 건축가는 건축주의 삶을 잘 알아야 하고 건축주와 건축가는 한 목소리를 내야한다. 그래서 좋은 건축가가 되려면 먼저 뜻이 맞는 좋은 건축주를 만나야 한다고 얘기들 한다.

 

 

우리는 집에서 산다. 눈을 뜨면 보이는 것이 건축이고 눈을 감고 느껴지는 것도 건축이다. 건축은 인간 중심이며 인류사에서 건축을 빼고 이야기 할 수 없는 것이다. ‘건축은 무엇이고, 왜 하는가?’를 먼저 생각하고, ‘어떻게 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건축은 실체와 실체 사이의 빈 공간을 다루며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하지만, 공간보다는 눈에 보이는 실체만 의식하며 그 형태를 더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루빈의 잔처럼 흰 바탕에 검은 잔을 보면 검정 바탕에 마주보는 두얼굴을 보지 못하는 것과 비슷하다. 물론, 도형이나 형태도 개성 인지 방식에 따라 다르게 보이겠지만 형이나 형태가 체험을 통해 형성한 형태로 지각될 가능성이 큰 만큼, 건축가는 자기 성찰을 통한 폭넓은 체험과 훈련을 바탕으로 공간과 형태를 디자인해야 한다. 과거의 삶을 돌아보고 현재의 일상을 바탕으로 미래를 예측한다.

 

 

‘어떤 삶을 담을 것인가?’가 정해지면, ‘어떻게 담을 것인가?’를 스터디한다. 대지현황이나 재정, 공사여건을 반영하여 크고 작은 공간을 나열하기도 하고 수직으로 쌓아 올리기도 한다. 공간을 열어 개방감을 주고 자연을 끌어 들이기도 한다. 공간을 닫아서 외부의 영향을 차단하고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하기도 한다. 때론 자리를 그냥 비워두기도 한다. 문의 크기와 위치는 인간의 동선과 행동을 통제하고 창은 인간의 시선을 유도한다. 일련의 작업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단절되면서 장소의 관계가 형성되며 우리 삶의 이야기가 전개된다.

 

 

우리는 집을 지으면서 너무 쉽게 편리한 기능을 추구한다. 동선은 짧아야 하고, 철물은 녹이 슬지 않는 스텐인리스 철물을 좋아하고 썩지 않는 방부목을 선호한다. 칠이나 벽지 같은 마감재는 때가 타지 않는 기능을 넣어야 잘 팔린다. 고가의 자연목바닥재를 깔고 까질까봐 인위적으로 코팅을 하는 웃지 못 할 일도 생긴다. 이런 재료를 사용하여 집을 지으면 많은 사람들은 유지관리가 쉽고 수명이 길어진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세월이 흘러가면 집도 자연스럽게 변화되어 가야한다. 시간이 정지되어 버린 듯 고착화된 물성은 쉽게 싫증이 난다. 잘 관리된 고택에서 풍기는 멋스러움은 그 집주인의 인품과 같은 그 집의 격을 얘기하는 주요한 요소가 되기도 한다. 편리한 기능이 최우선이었던 집은 사라져가고 있다. 형태를 결정짓는 요인은 기능이 아니라 인간의 기본 욕구 충족에 따른다는 생각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처음으로 돌아가서 ‘건축을 왜 하는가?’하는 질문을 다시 생각해본다. 대다수 인간이 행복을 추구한다고 전제하면, 행복하기 위해서 집을 짓는다는 말이 좀 더 근사한 대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편리함보다는 기본욕구가 충족되어야 그 집에 담긴 삶은 행복해지리라... 행복한 우리의 삶을 담은 집을 짓는다는 것이 그리 어렵기 만한 것은 아니듯 싶다.

 

 

집짓기2.jpg

 


  1.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사진의 10가지 비밀 - 박중하

        박중하 사진작가   아날로그의 시대, 즉 필름 카메라의 시대가 가고 디지털 사진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온 국민이 사진작가가 되었다고 불리는게 전혀 낯설지 않은 표현이 되었다. 심지어는 간단히 들고 다니는 스마트폰으로도 충분히 전문 사진작가 작품...
    Date2016.05.08 Views188
    Read More
  2. 진정한 성공이란? - 안동현

      사람들은 왜 그렇게도 좋은 학교에 가고 좋은 직업을 가지려고 하는가? 왜 사람들은 많은 돈과 시간을 들여 외모를 예쁘게 가꾸려고 하는가? 왜 그렇게도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출세하려고 하는가?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두가지 보편적인 욕구를 충족...
    Date2016.05.08 Views591
    Read More
  3. 독도를 둘러싼 한일간 쟁점과 ‘실효지배’ - 유미림

    일본 외무성은 2014년에 ‘다케시마’(독도에 대한 일본 호칭) 관련 홈페이지를 개편했다. 2008년에는 팜플렛 ‘다케시마 문제를 이해하기 위한 열 가지 포인트’를 중심으로 독도가 일본 영토인 근거를 제시했다면, 2014년에는 이 외에...
    Date2016.05.08 Views323
    Read More
  4. 당뇨도 알고나면... - 심영숙

    20~30년 전에 비해 최근 들어 현저하게 달라진 당뇨교육실 모습이 있다면, 첫째는 당뇨병 발환자의 모습을 예전처럼 흔히 볼 수 없는 것이고, 둘째는 인슐린주사를 맞는 노령 환자가 많이 늘었다는 점이다. 교육은 백년지대계(敎育百年之大計) 교육은 백년지...
    Date2016.05.08 Views119
    Read More
  5. 광복 70년 통일한국을 위한 시대적 사명 - 최명상

    우리는 일제의 강점에서 광복된 지 70년이 지났건만 조국은 여전히 분단된 채 북핵 위협과 국론분열 속에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국내외 위협을 제거하고 행복한 나라를 만들 수 없을까? 해결방법은 분단된 조국이 하루속히 통일을 이루는 것이다. 따라서 먼...
    Date2016.05.08 Views75
    Read More
  6. 내 안의 분노 다스리기 - 고영희

    힘든 하루의 일과를 모두 끝내고 자리에 들면서 만나는 나의 오늘은 어떠셨나요? 행복했나요? 아니면 화가 나는 일들만 가득했나요? 우리가 향유하는 하루가 내 의지와는 상관없이 보이지 않는 손에의해 좌지우지되며 기분이 엉망진창이 되어버린 건 아닌지요...
    Date2016.05.08 Views161
    Read More
  7. 집짓기, 행복한 삶을 담는다! - 연경흠

    우리는 집에서 살아왔다. 현대건축이 들어오면서 아파트라는 주거형태가 자리를 잡았다. 아직도 도시계획차원에서 정비구역이 확정 되면 여지없이 대단위 아파트가 들어선다. 한옥이든 양옥이든 땅을 밟고 사는 주거형태는 점점 사라지고 있다. 아파트는 선분...
    Date2016.05.08 Views160
    Read More
  8. 공자와 자공, 누가 더 나은가? - 이수태

      공자와 자공, 누가 더 나은가?      글 이수태 수사학연구소 소장       공자는 다들 잘 알지만 자공(子貢)을 모르는 사람들은 많을 것이다. 자공은 공자의 제자다. 공자보다 31살 아래였다. 그런 사제(師弟)를두고 공자가 나은가 자공이 나은가 하는 말이 ...
    Date2016.05.08 Views653
    Read More
  9. 멀리하기엔 너무 가까운 대마도 - 정영호

      멀리하기엔 너무 가까운 대마도     글 정영호 한국교원대학교 명예교수     우리 한국 사람들은 흔히 말하기를 「멀고도 가까운 일본, 가깝고도 먼 나라 일본」이라고들 한다. 역사적으로 보면 먼 옛날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의 선사시대로부터 역사시대...
    Date2016.05.08 Views303
    Read More
  10. 마음을 해킹하라! - 조진형

    ‘내 여친이 정말로 나를 사랑하고 있는 걸까?’ ‘이쯤에서 사랑한다고 고백을 하면 내 남친이 나를 받아줄까?’ 혹시 말했다가 거절당하면 어떻게 하나 망설이다가 말 한마디 못하고 헤어진 첫사랑 혹은 짝사랑 얘기는 언제 들어도 가...
    Date2016.05.08 Views90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