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노트

조회 수 7890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베토벤.jpg

 

 

프랑스 혁명은 거대한 변화를 몰고 왔다. 우선 귀족 계급과 지식인의 보금자리인 살롱이 폐쇄당했다. 두세기 동안 지식사회에 막강한 권력을 행사해 온 살롱은 혁명 이후 불과 10여 년만에 그 권위가 무너졌다. 정보의 교감과 토론의 광장이었던 살롱이 무너지자 저널리즘이 탄생하였다. 지식인들은 더이상 살롱에 나가지 않아도 되었다. 보다 생생하고 광범위하고 가치있는 정보들이 신문지상에 흘러넘쳤다. 신문은 자연히 지식인의 새로운 보금자리가 되었다. 그들은 글을 읽을 줄 아는 사람이면 누구나 구독할 수 있도록 신문을 만들었다. 그러다 보니 프랑스 대중사회의 광범위한 갖가지 이야기들이 신문지상에 오르내렸다. 독자들은 신문을 통해 지식을 얻고 교양을 키웠다.

 

베토벤2.jpg

신문이 발달하자 문학에도 새로운 변화가 왔다. 작가들은 서재에서 명상하는 시간 보다는 신문을 들추어 보기 바빴다. 신문에는 생생한 현실 속의 구체적인 사건들이 넘쳐났다. 독자들 또한 철학적인 소설보다는 생동감 넘치는 소설을 더 원했다. 하여튼 소설은 신문보다 재미있어야 했다. 작가들은 생동감넘치고 강렬한 작품을 써냈다. 작가들에게 일반 독자라는 개념이 처음으로 생겨났다. 인세(印稅)라는 개념도 새로 생겨났다. 신문과 독서를 통해 스스로 교양을 키운 시민계급이 문학 독자가 되었다. 작가들은 교양있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글을 썼고 그들은 책값을 냈다. 작가들은 이들을 작품 속에 반영하는 한편 이들의 기호에 맞는 소설을 쓰기 위해 사회 현실의 다양한 모습에 눈을 돌렸다.

 

 

 

그 폭풍의 1792년에, 프로이센 공국의 본 지방에서 자란 한 청년이 덜커덕거리는 마차를 타고 빈을 향해 달려가고 있었다. 그 해에 하이든은 유럽 전역을 통틀어 가장 창조적인 음악가로 대접받고 있었으며 그의 상대로 꼽혔던 모짜르트는 지독한 병고 끝에 싸늘한 시체가 되어 장소도 적혀 있지 않은 빈의 공동묘지에 묻혔다. 야심찬 스물두살의 이 청년은 이미 본에서 탁월한 피아니스트로 이름을 날리고 있었으나 그의 진정한 욕심은 음악의 본고장 빈에서 작곡가로 대성하는 것이었다. 당시 빈은, 파리가 정치의 본산으로 주목받는데 비해 음악의 집결지로 크게 성장하고 있었다.

 

베토벤은, 개인적 일생은 비참한 기록으로 채워져 있지만, 그의 음악사적 운명은 실로 좋은 시절과 조우한 행운덕으로 다채롭고 광휘로운 기록으로 가득차 있다. 베토벤은 하이든과 모짜르트가 발전시킨 음악 양식들, 특히 더욱 발전되고 개척될 여지가 있는 소나타 양식의 모든 것을 흡수통합하여 쇤베르크 이전까지 모든 음악가들의 생체 리듬을 완전히 장악해 버렸던 것이다. 베토벤이 이룩한 소나타 양식은 이후 음악가들이 도저히 그 자장권 내에서 벗어날 수 없을 만큼 정교하고 완벽한 건축적 구성미를 가진 것이었다. 아울러 베토벤의 음악은 프랑스 혁명이 몰고온 유럽 전역의 대변혁과 자신의 천부적인 창조성이 높은 차원으로 맞부딪쳐 빚어낸 이중주였다.

베토벤은 또한 지휘를 작곡과 동등한 위치에 올려놓은 최초의 예술가적 지휘자였다. 그것은 자기 작품은 자기가 해석하고 지휘해야 한다는 신념의 표현이었다. 제1바이올린 주자와 건반 주자들이 지휘를 담당했던 시기에 지휘자의 절대적인 권위를 세운 사람이 베토벤이었다. 그의 지휘는 희극적인 비극이었다. 귀머거리이자 고집불통인 베토벤의 지휘는 내면적 고통에 몸부림치며 불가능에 도전하는 불구의 거인의 모습 그대로였다. 단원들은 베토벤을 거들떠 보지 않고 제1바이올리니스트를 봐야만 했다. 베토벤 밑에서 연주를 했던 자이프리트는 이렇게 회고한다. “그가 디미누엔도를 지시할 때는 전신을 아래로 낮게 웅크린 동작을 했는데 너무나 지나쳐서 피아니시모 부분에서는 보면대 밑으로 기어들어갈 정도였다. 그러다가 점점 강한 소리로 전환할 때는 마치 구멍에서 빠져나오기라도 하듯이 몸을 일으켜서 총합주 부분에 이르면 발가락을 세워 발돋움을 하고 서서 마치 거인처럼 팔을 벌려 하늘 끝까지 솟아 오를 듯 휘저어댔다.”

 

베토벤은 선배들과는 전혀 다른 스타일을 고집하였다. 합스부르크가문의 총애를 받은 하이든이 평생 하인의 복장을 하고 살았지만 베토벤은 한번도 굽신거려 본 적이 없었다. 그렇기는커녕 베토벤은 누구의 명령으로 작곡한 일이 없었으며 완성될 날짜를 정해 놓고 악보에 매달린 일도 없었다. 그의 강렬한 개성은 한 독특한 스타일리스트의 제스츄어가 아니라 이전 세기와는 완전히 달라져버린 19세기 초의 격렬한 근대적 예술가의 초상이었다. 그는 근대의 이념이 표증하듯이 오로지 자신을 위해서 음악을 만들었다. ‘자기 자신을 위한 음악‘, 그것의 다른 이름은 낭만주의였다. 낭만주의의 공통된 우상은 베토벤이었다. 그러나 낭만주의자들은 두 갈래로 나뉘어져 서로 베토벤의 적자라고 주장하였다. 리스트, 바그너, 볼프로 이어지는 혁신주의자들은 이제 그만 베토벤의 그늘에서 벗어나자고 주장하였다. 멘델스존, 슈만, 브람스로 이어지는 회귀주의자들은 ‘그러나 베토벤!’이라고 주장하였다.

 

리스트는 인간의 감각을 총동원하여 새 음악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신독일파라고 일컬어지는 실험 노선이었다. 리스트가 보기에 슈만은 변혁기에 양다리를 걸친 기회주의자였다. 반면 슈만은 [음악신보]를 통해 멘델스존, 슈만 등 고전적인 성향의 작품의 중요성을 선전하였다. 그러나 리스트의 흐름이 더 주도적이었다. 무엇이 과연 참답게 베토벤에 이르는 길인가. 리스트는 베토벤으로부터 창조적으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여기에 바그너가 가세하였다. 1850년대 이후 독일 음악권은 완전히 바그너로 정리되었다. 점차 명성을 얻은 브람스가 1860년 경부터 이 논쟁에 참여하였다. 그는 리스트와 바그너로 대표되는 신독일악파를 공개적으로 거부하였다. 당대 최고의 음악평론가 한슬릭은 바그너에 반대하고 브람스의 손을 들어주었다. 북유럽의 신화를 바탕으로 독일민족주의의 부흥을 꾀하고 있던 바그너는 이같은 반대에 그냥 물러서지 않았다. 바그너는 [지휘에 관하여]란 글에 서 브람스을 ‘정절 수호자’라고 비웃었다. 베토벤을 그대로 베끼는 모방자라는 독설도 퍼부었다.

 

베토벤은 자신의 시대가 어떤 시대인지를 직관적으로 알고 있었다. 베토벤은 자기의 시대가 고전주의를 완성하고 낭만주의를 열어젖히는 분수령임을, 다름아닌 바로 자신의 음악으로 깨달았으며 이를 완전히 증명하였다. 게다가 그는 오직 자기자신을 위하여 작곡한 최초의 근대적 예술가였다. 베토벤의 시대에는 자기자신의 고난과 환희를 위해 작곡하는 것이 하나의 도전이고 모험이었다. 모든 작곡가들이 귀족과 후원자를 위해 곡을 썼지만, 베토벤은 오로지 자기 내면을 위해 곡을 썼다.

 

 

정윤수 성공회대학교 외래교수의 <베토벤, 새로운 세상!>은 오는 10월 4일 진행될 예정입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바랍니다. 자세한 사항은 선농소식 7page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갈등이 없는 관계는 죽은 관계이다.’ - 고영희

      가끔 부모교육 특강을 가면 필자는 이런 질문을 한다.   “아이들이 여러분 말을 잘 듣나요???”   그러면 십중팔구 손을 절래 절래 흔들면서   “징그럽게 말 안 들어요. 속상해 죽겠어요!” 라는 답이 돌아온다.   내친 김에 “그럼 남편(아내)께서는 말 잘 들...
    Date2016.05.02 Views112
    Read More
  2. 역사에 리더십을 묻다! - 김진혁

      역사에 리더십을 묻다! 글 김진혁 (미래성공전략연구소장/행정학 박사)     퇴근해서 옷도 채 갈아입지 못한 남편에게 아내가 몰아세웠다. “여보, 알지? 201호 사는 여자, 교양이 없어도 그렇게 없을 수가 있나, 자기가 기르는 애완견이 아무 때나 짖어도 ...
    Date2016.05.02 Views140
    Read More
  3. 달팽이가 가르쳐 준 세상 - 권오길

      모계성 유전하는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에너지의 대명사인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와 녹색을 품은 광합성의 본체인 엽록체(葉綠體)는 긴긴 세월동안 세포가 바뀌어 온 탓이다. 전인미답(前人未踏)의 시절, 약 15억 년 전에 애당초 독립해서 살던 ...
    Date2016.05.02 Views823
    Read More
  4. 베토벤, 새로운 시대! - 정윤수

        프랑스 혁명은 거대한 변화를 몰고 왔다. 우선 귀족 계급과 지식인의 보금자리인 살롱이 폐쇄당했다. 두세기 동안 지식사회에 막강한 권력을 행사해 온 살롱은 혁명 이후 불과 10여 년만에 그 권위가 무너졌다. 정보의 교감과 토론의 광장이었던 살롱이 ...
    Date2016.05.02 Views78907
    Read More
  5. ‘3만불 시대, 한국 경제의 변화’ - 김형주

        우리도 1인당소득 2만(20K, K=1000)달러, 인구 5천만(50M, M=Million)명 을 뜻하는 ‘20-50 클럽 ’에 진입했다. 일본(1987년), 미국(1988년), 프랑스 및 이탈리아(1990년), 독일(1991년), 영국(1996년)에 이어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국민소득이 2만 달러를...
    Date2016.05.02 Views115
    Read More
  6. 한국의 명문가(名門家) - 조용헌

          한국의 명문가(名門家) 글 조용헌 (동양학자, 조선일보 칼럼니스트)   명문가는 전통고택을 보유한 집안이다. 어떤 집안을 명문가로 볼 수 있는가. 보는 관점에 따라 매우 다양한 기준이 적용될 수 있겠지만, 필자는 전통 고택을 현재까지 보존하고 있...
    Date2016.05.02 Views440
    Read More
  7. <死의 찬미> 속에 숨은 비밀 - 강헌

        삶에 열중한 가련한 인생아! 너희는 칼 위에 춤추는 자로다. 신여성 소프라노, 조선 음악산업의 역사를 개막하다.   박채선과 이류색 이 두 기생에 의해 녹음된 <이 풍진 세월>이 한국 대중음악사의 여명이라면 1926년 소프라노 윤심덕에 의해 녹음된 <사...
    Date2016.05.02 Views261
    Read More
  8. 어떻게 살아야 하나? - 안동현

          변화가 보이지 않던 상태에서 갑자기 폭발적 변화를 보이는 경계점을 물리학에서는 특이점(singular point)이라고 부른다. 지진이나 화산 폭발은 어느 한 순간에 일어나는 일이지만 실상은 오랜 세월 땅속에서 지각변화가 이루어지다가 힘의 균형이 무...
    Date2016.05.02 Views101
    Read More
  9. 새로운 삶을 위한 창의력 개발법 - 이광형

        창의성은 기를 수 있는가? 아니면 창의성은 타고난 것인가? 노력하여도 길러지지 않는 것인가? 이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서는 창의성이 무엇인가 알아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창의성은 새로운 생각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새로운 생각은 질문을 많이 하고 ...
    Date2016.05.02 Views121
    Read More
  10. 클래식 친구되기, 바흐를 중심으로 - 정윤수

        클래식 친구되기, 바흐를 중심으로   정윤수 (성공회대학교 외래교수)     바흐는 젊은 날에 아른슈타트와 뮐하우젠에서 오르간 연주자로 일했으며 바이마르 공작의 예배당에서는 오르간을 다뤘고 서른이 넘어서는 쾨텐의 궁정악장을 맡았다(1717-1723년)...
    Date2016.05.02 Views124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