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노트

조회 수 26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사의찬미1.jpg

 

 

삶에 열중한 가련한 인생아!

너희는 칼 위에 춤추는 자로다.

신여성 소프라노,

조선 음악산업의 역사를 개막하다.

 

박채선과 이류색 이 두 기생에 의해 녹음된 <이 풍진 세월>이 한국 대중음악사의 여명이라면 1926년 소프라노 윤심덕에 의해 녹음된 <사의 찬미>는 본격적인 음반 산업의 시대의 개막을 알리는 비극적인 팡파레 였다.

이 노래와 이 노래의 주인공이 비극적인 것은 이미 주지의 사실이다. 윤심덕 스토리는 두 번이나 영화로 만들어졌고 뮤지컬로도 만들어졌다. 이 세 편의 여주인공이 모두 당대 최고의 여배우였다는 사실이 흥미롭다.

첫 번째로 영화화한 1969년 안현철 감독의 <사의 찬미>의 히로인은 당대 최고의 인기 여우 문희 였고, 두 번째로 영화화한 1990년 김호선 감독의 동명의 작품의 주인공은 1980년대를 주름잡았던 장미희였다. 뮤지컬 <사의 찬미>의 타이틀 롤 또한 한국 뮤지컬 사상 최고의 인기를 구가했던 윤석화가 맡았을 정도이니 도대체 저 이십년대의 윤심덕에게 무에 그리 깊은 곡절이 있기에 이토록 잊을 만하면 새롭게 리메이크되는 것인가?

 

사의찬미2.jpg

윤심덕과 <사의 찬미>라는 노래에 대해 아무 것도 모르는 요즘 젊은이들도 윤심덕이 극작가 김우진과 현해탄에 몸을 던져 동반자살했다는 얘기는 어찌어찌 귀동냥으로 들어 안다. 이 비극적인 드라마의 매혹의 핵심은 동반 자살, 그것도 유부남과의 불륜의, 참으로 낭만적이게도 현해탄 밤바다의 관부연락선 상에서의 투신자살이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20세기 대중문화계엔 수많은 죽음의 스캔들이 있었다. 커트 코베인이나 마릴린 먼로의 경우처럼 스타의 자살과 의문사는 대중들에게 가장 강렬한 충격을 선사한다. 죽음의 센세이셔널리즘만을 따진다면 윤심덕과 김우진의 동반 자살은 아마도 20세기 전세계 스캔들의 엄지손가락에 걸릴 만한 사건일 것이다. 이들 이후로도 많은 스타들이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했지만 그 드라마틱한 정도에 있어서 이들 커플에 비견될 만한 경우는 찾아보기 어렵다.

 

정말이지 아이러니한 사실이지만 윤심덕과 그의 연인의 죽음으로 인해서 식민지 조선의 대중음악사가 본격적으로 열린다. 1926년 8월 5일 동아일보가 이 불행한 연인들의 정사(情死)를 호들갑스럽게 보도하면서 이 사건은 한반도의 인구에 회자하게 되었고, 죽음 직전에 일본 오사카의 이토오(日東) 레코드 회사에서 윤심덕이 녹음한 <사(死)의 찬미>의 음반이 출시되자마자 한반도 전역에서 유성기 신드롬이 일게 된 것은 어쩌면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죽음은 자본주의 사회의 대중을 열광시키는 가장 효율 높은 미약(媚藥)이다. 대량 생산과 대량 복제의 본질을 지니는 자본주의는 생명마저도 복제하려 들지만 그러나 죽음만큼은 복제하지 못한다. 자본주의 시대에 죽음은 결코 복제되지 않는 마지막 진본인 것이다.

 

하지만 윤심덕과 김우진이라는 식민지의 두 지식인의 죽음이 무엇인가를 분만하지 않았더라면 이들 죽음에 대한 열광은 무성한 가쉽에 소진되고 말았을 것이다. 이들의 사후에 발매된 <사의 찬미>는 이들 죽음의 기록이자 신화의 증거가 되었다.

 

이들이 자살했는지 혹은 타살당했는지 죽은 자는 말이 없고 현해탄도 침묵 중이다. 다만 한가지 확실한 것은 식민지 여성 앨리트의 에로틱한 희생제를 통해서 한국의 대중음악사가 본격적으로 발진하였다는 사실이다.

 

 

강헌 음악평론가의 <사의 찬미 속에 숨은 비밀>은 오는 9월 13일 진행될 예정입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바랍니다. 자세한 사항은 선농소식 7page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갈등이 없는 관계는 죽은 관계이다.’ - 고영희

      가끔 부모교육 특강을 가면 필자는 이런 질문을 한다.   “아이들이 여러분 말을 잘 듣나요???”   그러면 십중팔구 손을 절래 절래 흔들면서   “징그럽게 말 안 들어요. 속상해 죽겠어요!” 라는 답이 돌아온다.   내친 김에 “그럼 남편(아내)께서는 말 잘 들...
    Date2016.05.02 Views112
    Read More
  2. 역사에 리더십을 묻다! - 김진혁

      역사에 리더십을 묻다! 글 김진혁 (미래성공전략연구소장/행정학 박사)     퇴근해서 옷도 채 갈아입지 못한 남편에게 아내가 몰아세웠다. “여보, 알지? 201호 사는 여자, 교양이 없어도 그렇게 없을 수가 있나, 자기가 기르는 애완견이 아무 때나 짖어도 ...
    Date2016.05.02 Views140
    Read More
  3. 달팽이가 가르쳐 준 세상 - 권오길

      모계성 유전하는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에너지의 대명사인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와 녹색을 품은 광합성의 본체인 엽록체(葉綠體)는 긴긴 세월동안 세포가 바뀌어 온 탓이다. 전인미답(前人未踏)의 시절, 약 15억 년 전에 애당초 독립해서 살던 ...
    Date2016.05.02 Views823
    Read More
  4. 베토벤, 새로운 시대! - 정윤수

        프랑스 혁명은 거대한 변화를 몰고 왔다. 우선 귀족 계급과 지식인의 보금자리인 살롱이 폐쇄당했다. 두세기 동안 지식사회에 막강한 권력을 행사해 온 살롱은 혁명 이후 불과 10여 년만에 그 권위가 무너졌다. 정보의 교감과 토론의 광장이었던 살롱이 ...
    Date2016.05.02 Views78907
    Read More
  5. ‘3만불 시대, 한국 경제의 변화’ - 김형주

        우리도 1인당소득 2만(20K, K=1000)달러, 인구 5천만(50M, M=Million)명 을 뜻하는 ‘20-50 클럽 ’에 진입했다. 일본(1987년), 미국(1988년), 프랑스 및 이탈리아(1990년), 독일(1991년), 영국(1996년)에 이어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국민소득이 2만 달러를...
    Date2016.05.02 Views115
    Read More
  6. 한국의 명문가(名門家) - 조용헌

          한국의 명문가(名門家) 글 조용헌 (동양학자, 조선일보 칼럼니스트)   명문가는 전통고택을 보유한 집안이다. 어떤 집안을 명문가로 볼 수 있는가. 보는 관점에 따라 매우 다양한 기준이 적용될 수 있겠지만, 필자는 전통 고택을 현재까지 보존하고 있...
    Date2016.05.02 Views440
    Read More
  7. <死의 찬미> 속에 숨은 비밀 - 강헌

        삶에 열중한 가련한 인생아! 너희는 칼 위에 춤추는 자로다. 신여성 소프라노, 조선 음악산업의 역사를 개막하다.   박채선과 이류색 이 두 기생에 의해 녹음된 <이 풍진 세월>이 한국 대중음악사의 여명이라면 1926년 소프라노 윤심덕에 의해 녹음된 <사...
    Date2016.05.02 Views261
    Read More
  8. 어떻게 살아야 하나? - 안동현

          변화가 보이지 않던 상태에서 갑자기 폭발적 변화를 보이는 경계점을 물리학에서는 특이점(singular point)이라고 부른다. 지진이나 화산 폭발은 어느 한 순간에 일어나는 일이지만 실상은 오랜 세월 땅속에서 지각변화가 이루어지다가 힘의 균형이 무...
    Date2016.05.02 Views101
    Read More
  9. 새로운 삶을 위한 창의력 개발법 - 이광형

        창의성은 기를 수 있는가? 아니면 창의성은 타고난 것인가? 노력하여도 길러지지 않는 것인가? 이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서는 창의성이 무엇인가 알아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창의성은 새로운 생각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새로운 생각은 질문을 많이 하고 ...
    Date2016.05.02 Views121
    Read More
  10. 클래식 친구되기, 바흐를 중심으로 - 정윤수

        클래식 친구되기, 바흐를 중심으로   정윤수 (성공회대학교 외래교수)     바흐는 젊은 날에 아른슈타트와 뮐하우젠에서 오르간 연주자로 일했으며 바이마르 공작의 예배당에서는 오르간을 다뤘고 서른이 넘어서는 쾨텐의 궁정악장을 맡았다(1717-1723년)...
    Date2016.05.02 Views124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