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노트

조회 수 10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aa1.jpg

 

 

 

변화가 보이지 않던 상태에서 갑자기 폭발적 변화를 보이는 경계점을 물리학에서는 특이점(singular point)이라고 부른다.

지진이나 화산 폭발은 어느 한 순간에 일어나는 일이지만 실상은 오랜 세월 땅속에서 지각변화가 이루어지다가 힘의 균형이 무너질 때 어느 순간 지진도 일어나고 화산도 폭발하고 쓰나미도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비단 자연계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고 인간이 살아가는 사회, 경제, 문화, 그리고 조직이나 개인생활 전반에 걸쳐서 자주 나타나는 현상이다.

 

로마제국은 어느 날 갑자기 망한 것이 아니다.

오랜 세월 동안 사치와 부패, 도덕적 타락으로 로마제국은 이미 내부적으로 망해 있었다. 그것을 최종적으로 확인시켜준 것이 바로 게르만민족 계통의 반달족의 침입이었다. 1997년 말에 한국에서 발생한 IMF 경제위기도 마찬가지다. 아무 이유 없이 IMF 국가부도 위기 사태가 발생한 것이 아니다. 그 당시 이미 한국 경제는 감당키 어려운 해외 외화금융 채무로 인하여 부도 직전사태에 있었다. 그것을 계속해서 빚을 얻어 원리금을 갚으면서 부도기를 면해 오다가 동남아 지역에서 발생한 외환위기로 더 이상 해외 금융시장에서 빚을 얻을 수 없게 되자 감당할 수 없이 불어난 1500억 달러 상당의 외화부채의 실체가 수면으로 떠오른 것이 IMF 금융위기 사태였던 것이다. IMF 국가부도 경제위기 사태가 우리에게 던져준 분명한 메시지는 한 가지다. 그것은 “국가이던 기업이던 개인이던 수입보다 지출이 많으면 망한다.”는 교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 우리 사회는 빚이 얼마나 무서운 괴물인지를 벌써 다 잊어버리고 국가, 기업, 가계가 엄청난 빚더미 위에 자신들의 삶의 덩치를 키워가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정상이 아니다. 정상이 아닌 것은 오래 지속될 수 없다. 반드시 끝이 있게 마련이다.

 

전 세계 투자가들이 매일 아침에 일어나면 보고 확인하는 중요한 금융지표가 하나 있다. 바로 미국의 다우 산업평균지수(DJIA)이다. 이 다우 산업평균지수는 1898년 당시 뉴욕의 월스트리트 저널 사장이었던 잔 다우가 미국을 대표하는 기업의 주식 30개의 주가를 100으로 지수화 하여 만든 주가지수다. 처음 100으로 시작한 이 지수가 1,000포인트에 도달하는 데는 85년이라는 긴 시간이 걸렸다. 이 기간 동안 사람들의 삶은 안전했다. 빚이 없이 가진 것 범위 내에서 살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다우지수 1,000이 5,000포인트가 되는 데 걸린 시간은 12년, 5,000포인트가 10,000포인트에 도달하는 데는 불과 3년 반밖에 걸리지 않았다. 이때부터 사람들의 삶은 위험해지기 시작했다. 빚더미 위에 자신들의 삶의 규모를 키워가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 기간 동안 사람들은 자고 일어나면 오르는 부동산 가격과 주식시세에 열광했고 경기 상승 추세에 맞추어 늘어난 수입도 모자라 빚까지 얻어 경쟁적으로 생활규모를 늘리기 시작했다.

 

이 때 수많은 사람들이 빚의 함정에 빠져 이제는 빠져나 오고 싶어도 경기침체가 장기화 되면서 빚의 수렁에서 빠져나오지 못해 즐거워야할 인생을 고통과 한숨 속에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지 모른다. 지금 우리는 장차 무슨 일이 벌어질지 모르는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매우 불확실하고 위험한 세상을 살아가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앞으로 우리는 과거에 겪어보지 못한 충격적인 일들이 세계 도처에서 자주 일어나는 것을 목격하게 될 것이다. 과거에 좋았던 시절은 다시는 오지 않을 것이다. 세계 경제는 선진 각국 정부가 안고 있는 심각한 빚 문제로 결코 지금보다 더 좋아질 수 없을 것이다. 1930년대 미국에서 일어난 경제공황은 미국에만 국한된 경제적 재난이었지만 세계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세계경제가 단일 경제권을 이루고 거대한 국제금융 자본이 서로 거미줄처럼 연결되어 있는 지금은 한 지역의 경제적 재난이 전 세계로 급속히 파급될 수 있는 매우 위험한 경제구조 속에 우리가 지금 살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나?

우리의 생명과 삶의 안전을 지켜갈 수 있는가? 성경 잠언서는 “지혜로운 자는 위기가 오는 것을 미리 알고 대비했다가 위기가 왔을 때 살아남지만 어리석은 자는 위기가 오는 줄도 모르고 아무 준비없이 살다가 위기가 오면 쓰러진다“고 우리에게 경고해 주고 있다. 우리들이 지난 20-30년간 경쟁적으로 확장해온 생활규모를 과감하게 축소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작은 경제적 충격에도 쓰러질 수밖에 없다. 우리가 사는 세상이 점점 더 위험해져가고 있는 것은 세상이 사실과 진실에 근거하지 않은 인간의 탐욕과 욕망이 만들어낸 거짓과 허구 그리고 감당할 수 없는 빚더미 위에 그 삶의 덩치를 키워가고 있기 때문이다.

 

누가 잘 사는 사람인가?

좀 사는 것이 불편해도 빚 없이 소박한 삶을 즐기며 마음편하게 사는 사람이 잘 사는 사람이다. 요즘 같이 어려울때 지출을 늘리고 생활규모를 늘리는 것은 자살행위나 마찬가지다. 더 큰 집을 지으려고 우리의 소중한 인생의 가치를 희생하고 우리가 소중히 가꾸고 지켜야할 가정을 허무는 어리석은 짓을 해서는 안 된다.

 

세상은 사람들과의 거래에서 결코 손해보는 장사를 하지않는다. 세상에서 많은 것을 얻으려면 우리가 지키고 가꾸어야할 인생의 소중한 가치들-건강, 마음의 여유, 평안, 자녀 교육, 가정생활-을 더 많이 희생해야 한다. 어느정도 필요가 충족되면 “이제 이만하면 됐어”하고 자족하고 감사할 줄 알아야 한다.

 

진정한 부자는 소유가 많은 사람이 아니라, 적은것에도 자족하고 만족할 줄 아는 마음이 부요한 사람이다.

 

세상에는 결코 돈을 쉽게, 빨리, 많이 버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분명히 알고 살면 우리는 물질에 대한 맹목적 욕심으로부터 우리의 귀중한 삶과 가정을 안전하게 지켜갈 수 있다.

 

 

안동현 호서대학교 경영학과 교수의 <어떻게 살아야 하나?>는 오는 9월 6일 진행될 예정입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바랍니다. 자세한 사항은 선농소식 7page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갈등이 없는 관계는 죽은 관계이다.’ - 고영희

      가끔 부모교육 특강을 가면 필자는 이런 질문을 한다.   “아이들이 여러분 말을 잘 듣나요???”   그러면 십중팔구 손을 절래 절래 흔들면서   “징그럽게 말 안 들어요. 속상해 죽겠어요!” 라는 답이 돌아온다.   내친 김에 “그럼 남편(아내)께서는 말 잘 들...
    Date2016.05.02 Views112
    Read More
  2. 역사에 리더십을 묻다! - 김진혁

      역사에 리더십을 묻다! 글 김진혁 (미래성공전략연구소장/행정학 박사)     퇴근해서 옷도 채 갈아입지 못한 남편에게 아내가 몰아세웠다. “여보, 알지? 201호 사는 여자, 교양이 없어도 그렇게 없을 수가 있나, 자기가 기르는 애완견이 아무 때나 짖어도 ...
    Date2016.05.02 Views140
    Read More
  3. 달팽이가 가르쳐 준 세상 - 권오길

      모계성 유전하는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에너지의 대명사인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와 녹색을 품은 광합성의 본체인 엽록체(葉綠體)는 긴긴 세월동안 세포가 바뀌어 온 탓이다. 전인미답(前人未踏)의 시절, 약 15억 년 전에 애당초 독립해서 살던 ...
    Date2016.05.02 Views823
    Read More
  4. 베토벤, 새로운 시대! - 정윤수

        프랑스 혁명은 거대한 변화를 몰고 왔다. 우선 귀족 계급과 지식인의 보금자리인 살롱이 폐쇄당했다. 두세기 동안 지식사회에 막강한 권력을 행사해 온 살롱은 혁명 이후 불과 10여 년만에 그 권위가 무너졌다. 정보의 교감과 토론의 광장이었던 살롱이 ...
    Date2016.05.02 Views78910
    Read More
  5. ‘3만불 시대, 한국 경제의 변화’ - 김형주

        우리도 1인당소득 2만(20K, K=1000)달러, 인구 5천만(50M, M=Million)명 을 뜻하는 ‘20-50 클럽 ’에 진입했다. 일본(1987년), 미국(1988년), 프랑스 및 이탈리아(1990년), 독일(1991년), 영국(1996년)에 이어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국민소득이 2만 달러를...
    Date2016.05.02 Views115
    Read More
  6. 한국의 명문가(名門家) - 조용헌

          한국의 명문가(名門家) 글 조용헌 (동양학자, 조선일보 칼럼니스트)   명문가는 전통고택을 보유한 집안이다. 어떤 집안을 명문가로 볼 수 있는가. 보는 관점에 따라 매우 다양한 기준이 적용될 수 있겠지만, 필자는 전통 고택을 현재까지 보존하고 있...
    Date2016.05.02 Views440
    Read More
  7. <死의 찬미> 속에 숨은 비밀 - 강헌

        삶에 열중한 가련한 인생아! 너희는 칼 위에 춤추는 자로다. 신여성 소프라노, 조선 음악산업의 역사를 개막하다.   박채선과 이류색 이 두 기생에 의해 녹음된 <이 풍진 세월>이 한국 대중음악사의 여명이라면 1926년 소프라노 윤심덕에 의해 녹음된 <사...
    Date2016.05.02 Views261
    Read More
  8. 어떻게 살아야 하나? - 안동현

          변화가 보이지 않던 상태에서 갑자기 폭발적 변화를 보이는 경계점을 물리학에서는 특이점(singular point)이라고 부른다. 지진이나 화산 폭발은 어느 한 순간에 일어나는 일이지만 실상은 오랜 세월 땅속에서 지각변화가 이루어지다가 힘의 균형이 무...
    Date2016.05.02 Views101
    Read More
  9. 새로운 삶을 위한 창의력 개발법 - 이광형

        창의성은 기를 수 있는가? 아니면 창의성은 타고난 것인가? 노력하여도 길러지지 않는 것인가? 이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서는 창의성이 무엇인가 알아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창의성은 새로운 생각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새로운 생각은 질문을 많이 하고 ...
    Date2016.05.02 Views121
    Read More
  10. 클래식 친구되기, 바흐를 중심으로 - 정윤수

        클래식 친구되기, 바흐를 중심으로   정윤수 (성공회대학교 외래교수)     바흐는 젊은 날에 아른슈타트와 뮐하우젠에서 오르간 연주자로 일했으며 바이마르 공작의 예배당에서는 오르간을 다뤘고 서른이 넘어서는 쾨텐의 궁정악장을 맡았다(1717-1723년)...
    Date2016.05.02 Views124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