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노트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global1.jpg

 

사고와 논리의 시대에서 직관과 감성의 시대로

 

‘아는 것이 힘이다.’ ‘보이는 것이 진리다.’ 지식 독점의 힘으로 세계를 점령하고 식민지 구조를 통해 온 세계를 지배하던 시대를 우리는 가히 ‘파충류’의 시대로 비유할 수 있겠다.

 

또한 산업화의 시대가 사고와 논리를 바탕으로 한 시대로 지식을 먼저 독점하고 진리를 소유한 쪽이 인류를 일방적으로 지배할 수 있었다면, 그리하여 지식을 먼저 점령한 덕분에 권력의 정점에서 세계를 지배할 수 있었던 시대로 본다면 오늘날 정보화 시대로 접어든 21세기는 곤충의 시대로 비유할 수 있겠다. 모든 경계가 무너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정보화의 시대는 국경도, 남녀의 경계도, 스승과 제자의 구별도, 남과 나와의 경계마저도 지금까지 척도로 재기에는 너무나 어이없이 그 경계가 무너져 이제 새로운 척도로 세상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안되는 세상이 되었다.

지식과 ‘힘’의 논리로 다스리던 시대에서 이제는 바야흐로 ‘정보화’와 지식을 공유하는 시대로 이전하고 있는것이다. 경계를 그으며 땅을 차지하던 파충류의 시대에서 경계없이 하늘을 나는 곤충의 시대로 바뀐 것이다.이러한 시대에 살려면 인간은 논리를 따지고 사고에 의존해 얻은 지식을 가지고 살기에는 온 세상이 너무나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그 속도를 따라가려면 논리로 따지고 생각을 통해 다스리기에는 너무나 세상

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어 적응하기가 쉽지 않다. 곤충이 의존하고 있는 촉감과 직감에 의지하지 않고는 글로벌시대인 21세기를 살아가기에 어렵게 되었다. 그리하여 이러한 시대에 예술의 형태 또한 달라질 수 밖에 없다.

 

global2.jpg

 

 

global3.jpg

 

스피드, 스펙타클,

스케일의 세가지 요소를 요구하고 있다.

 

21세기 글로벌 시대의 공연예술의 특징은 위와 같은 세가지 요소를 요구하여 변화해가며 새로운 가치체계를 심어주기 요구한다. 기존의 무용, 음악, 연극, 미술, 건축 등등으로 분류되었던 예술의 장르들은 그 경계를 넘나들거나 무너 뜨리며 융합과 공유의 형태로 새로운 모습의 예술을 요구하고 있다. 더 나아가 산업화 시대에 예술가들이 전문가로서 예술을 통해 아름다움과 추함의 체험을 대신 해주었다면, 그리고 학자들이 학문의 세계

를 통해 가치의 체계를 대신 세워주었다면 오늘날 21세기 글로벌 시대에는 예술가와 학자가 대신하던 전문가의 경지가 무너지고, 누구나가 지식과 체험을 공유하고 싶은, 그리고 그것이 실천되는 대중화와 소통의 시대로 바뀌어가고 있다.

 

한국의 공연예술 ‘그 뿌리와 열매’

 

글로벌 시대의 경계가 무너진 무경계의 시대. 융합의 시대. 대중화의 시대. 과학과 문화가 융합하는 과학문화 융합의 시대에 가장 귀하고 가치 있는 요소는 개체나 민족.어느 집단의 뿌리가 어디에 박혀 있어 그 뿌리에서 나오는 독창적 개성이 에너지를 발휘하며 다원화가 용납되는 다양한 시대에 어떻게 스스로의 독자성을 발휘하며 세계속에 융합의 과정에서도 독특하나 타의를 수용할 수 있는 포용력의 큰 그릇으로 세계를 품어 안을 수 있느냐 하는 과제를 풀어야 아름다운 공연예술의 열매를 맺을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한국을 위시해 아시아, 아프리카 등 오랫동안 식민지 생활을 이어온 지난날의 역사의 아픔을 경험한 나라들은 글로벌 시대에 두 가지 큰 과제를 함께 풀며 창작을 해야 하는 어려움을 풀어야 한다.

 

첫째가 올바른 ‘뿌리찾기’ ‘뿌리알기’의 과정을 철저하게 공부하며 그 역사 속에 스며있는 정신과 마음읽기를 올바로 해야 하며,

 

둘째로 지금 우리가 사는 시대 파악을 철저히 하는 동시에 우리 시대의 시대 정신을 올바로 표출하며,

 

셋째는 앞으로의 세계를 향한 방향과 가치 체계를 암시할 수 있는 힘을 발휘해야 한다.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을 때 비로소 그 열매의 맛과 아름다움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1. ‘갈등이 없는 관계는 죽은 관계이다.’ - 고영희

      가끔 부모교육 특강을 가면 필자는 이런 질문을 한다.   “아이들이 여러분 말을 잘 듣나요???”   그러면 십중팔구 손을 절래 절래 흔들면서   “징그럽게 말 안 들어요. 속상해 죽겠어요!” 라는 답이 돌아온다.   내친 김에 “그럼 남편(아내)께서는 말 잘 들...
    Date2016.05.02 Views112
    Read More
  2. 역사에 리더십을 묻다! - 김진혁

      역사에 리더십을 묻다! 글 김진혁 (미래성공전략연구소장/행정학 박사)     퇴근해서 옷도 채 갈아입지 못한 남편에게 아내가 몰아세웠다. “여보, 알지? 201호 사는 여자, 교양이 없어도 그렇게 없을 수가 있나, 자기가 기르는 애완견이 아무 때나 짖어도 ...
    Date2016.05.02 Views140
    Read More
  3. 달팽이가 가르쳐 준 세상 - 권오길

      모계성 유전하는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에너지의 대명사인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와 녹색을 품은 광합성의 본체인 엽록체(葉綠體)는 긴긴 세월동안 세포가 바뀌어 온 탓이다. 전인미답(前人未踏)의 시절, 약 15억 년 전에 애당초 독립해서 살던 ...
    Date2016.05.02 Views823
    Read More
  4. 베토벤, 새로운 시대! - 정윤수

        프랑스 혁명은 거대한 변화를 몰고 왔다. 우선 귀족 계급과 지식인의 보금자리인 살롱이 폐쇄당했다. 두세기 동안 지식사회에 막강한 권력을 행사해 온 살롱은 혁명 이후 불과 10여 년만에 그 권위가 무너졌다. 정보의 교감과 토론의 광장이었던 살롱이 ...
    Date2016.05.02 Views78904
    Read More
  5. ‘3만불 시대, 한국 경제의 변화’ - 김형주

        우리도 1인당소득 2만(20K, K=1000)달러, 인구 5천만(50M, M=Million)명 을 뜻하는 ‘20-50 클럽 ’에 진입했다. 일본(1987년), 미국(1988년), 프랑스 및 이탈리아(1990년), 독일(1991년), 영국(1996년)에 이어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국민소득이 2만 달러를...
    Date2016.05.02 Views115
    Read More
  6. 한국의 명문가(名門家) - 조용헌

          한국의 명문가(名門家) 글 조용헌 (동양학자, 조선일보 칼럼니스트)   명문가는 전통고택을 보유한 집안이다. 어떤 집안을 명문가로 볼 수 있는가. 보는 관점에 따라 매우 다양한 기준이 적용될 수 있겠지만, 필자는 전통 고택을 현재까지 보존하고 있...
    Date2016.05.02 Views440
    Read More
  7. <死의 찬미> 속에 숨은 비밀 - 강헌

        삶에 열중한 가련한 인생아! 너희는 칼 위에 춤추는 자로다. 신여성 소프라노, 조선 음악산업의 역사를 개막하다.   박채선과 이류색 이 두 기생에 의해 녹음된 <이 풍진 세월>이 한국 대중음악사의 여명이라면 1926년 소프라노 윤심덕에 의해 녹음된 <사...
    Date2016.05.02 Views261
    Read More
  8. 어떻게 살아야 하나? - 안동현

          변화가 보이지 않던 상태에서 갑자기 폭발적 변화를 보이는 경계점을 물리학에서는 특이점(singular point)이라고 부른다. 지진이나 화산 폭발은 어느 한 순간에 일어나는 일이지만 실상은 오랜 세월 땅속에서 지각변화가 이루어지다가 힘의 균형이 무...
    Date2016.05.02 Views101
    Read More
  9. 새로운 삶을 위한 창의력 개발법 - 이광형

        창의성은 기를 수 있는가? 아니면 창의성은 타고난 것인가? 노력하여도 길러지지 않는 것인가? 이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서는 창의성이 무엇인가 알아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창의성은 새로운 생각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새로운 생각은 질문을 많이 하고 ...
    Date2016.05.02 Views121
    Read More
  10. 클래식 친구되기, 바흐를 중심으로 - 정윤수

        클래식 친구되기, 바흐를 중심으로   정윤수 (성공회대학교 외래교수)     바흐는 젊은 날에 아른슈타트와 뮐하우젠에서 오르간 연주자로 일했으며 바이마르 공작의 예배당에서는 오르간을 다뤘고 서른이 넘어서는 쾨텐의 궁정악장을 맡았다(1717-1723년)...
    Date2016.05.02 Views124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