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노트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page1 (2).jpg

 

테이블 위에 음식과 그릇들이 어지러이 나뒹굴고 있다. 누군가가 식사를 마친 후 뒷정리를 하지 않은 채 자리를 뜬 듯한 풍경이다. 식탁에서 유난히 눈에 띄는 것은 베네치아산의 투명한 물잔과 가로 누운 은제 식기들이다. 왼편에는 두 개의 복숭아가 있는데 나뭇가지가 달려 있는 것으로 보아 방금 가지에서 따낸 듯하다. 그 앞에는 중국에서 수입된 듯한 청화백자 접시가 보이고 그위에는 절인 올리브 열매가 식욕을 돋군다. 다시 그 오른쪽에는 훈제 햄이 놓여 있다. 또 바닥으로 떨어지기 일보 직전의 식탁보 위에는 빵이 위태위태하게 놓여있다. 테이블 위에 놓인 이국적인 물건들로 보아 테이블의 주인공은 부유한 상인계급의 부르주아지였을 가능성이 크다.

 

이 그림은 바로크시대 네덜란드 최고의 화가 중 한 사람인 빌럼 클라스 헤다(1594-1680)가 그린 ‘정물’이라는 작품이다. 당시 네덜란드에는 수많은 정물화가들이 활동하고 있었다. 이 당시 얼마나 많은 정물화가 그려졌는지는 유럽 유수의 미술관과 박물관을 가득 메운 작품들만 봐도 능히 짐작할 수 있다. 관람객들은 가득 메운 정물화의 홍수 앞에 당혹감과 함께 의문을 갖지 않을 수 없다. 이 작품들 중 상당수는 17, 18세기 네덜란드에서 그려진 것들이다. 꽃을 그린 것, 사냥터에서 잡아온 새와 짐승을 그린 것, 음식을 그린 것 등 종류도 다양하다. 그렇다면 네덜란드 사람들은 왜 이렇게 많은 정물화를 그렸던 것일까? 17세기에 이탈리아, 프랑스 등 서양미술의 본고장에서 화가들이 반종교개혁의 이념을 쫓아 한창 기독교 주제에 매진하고 있을 때 이 북구의 ‘저지대 사람(네덜란드인)들’은 어째서 정물화, 초상화 같은 아주 세속적이고 장식적인 그림에만 매달렸던 것일까?

 

page2 (1).jpg

 

사실 플랑드르의 화가들도 16세기까지만 해도 이탈리아 화가들 못지않게 열심히 종교화를 그려댔다. 미술사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독자라면 로지에 반 데를 바이덴, 휴고 반 데르 고스, 로베르 캉팽 같은 종교화의 대가들이 남긴 명품들을 기억할 것이다. 그렇다면 17세기의 예기치 않은 반전은 어떻게 일어난 것일까? 바로 종교개혁 때문이었다. 독일의 신학자 마르틴 루터가 부패한 가톨릭 교단의 자성을 촉구하며 신앙의 근본정신으로 되돌아갈 것을 주장한 프로테스탄티즘, 이른바 개신교 운동의 결과였다. 플랑드르(오늘의 네덜란드와 벨기에)에서도 프로테스탄티즘의 유입과 함께 이를 지지하는 공화파와 전통 가톨릭을 지지하는 왕당파 사이에 지루한 힘겨루기가 벌어졌다. 결국 암스테르담을 중심으로 하는 플랑드르 북부지역에서는 개신교가 승기를 잡았고, 오늘의 벨기에에 해당하는 남부지역에서는 가톨릭의 우위가 지속됐다.

신교 세력이 가톨릭 세력을 몰아낸 북부에서는 종교미술에 커다란 변화가 일어난다. 프로테스탄트 교회 지도부는 교회의 사치와 성직자의 부패를 경계하는 한편 중세시대의 성상금지령에 버금가는 조치를 내려 교회 안에서 형상의 추방을 결의한다. 기존 성당 벽과 천정을 장식한 신의 형상과 성자의 이미지는 모조리 파괴됐다. 교회의 주문에 의지해 생계를 유지해 온 화가와 조각가들에게 이런 조치는 생존권을 위협하는 것이었다. 벼랑 끝으로 내몰린 화가들은 고심 끝에 불특정 다수의 고객을 겨냥한 벽걸이 액자그림을 그려 생계를 유지한다.

다행히 하늘은 그들을 완전히 져버리지 않았다. 17세기의 네덜란드는 전 세계를 연결하는 동인도회사의 무역 네트워크를 통해 희귀한 물건들이 집중되고 다시 수요처로 배분되는 허브로 번영했다. 당연히 중개무역으로 재미를 본 상인계급이 두텁게 형성됐다. 큰돈을 만지게 된 빌렘 클라츠 헤다, 정물, 1651년, 나무판 위에 유채, 9983cm, 리히텐슈타인 공작 미술관 이들은 자신들의 부를 과시하는데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이는 집안 장식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벼락부자들이 부를 과시하는 데는 아무래도 그림이 제격이었다. 그러나 복잡한 상징 코드가 얽힌 역사화라든가 신화를 주제로 한 그림은 품격 있는 그림으로 인식되긴 했지만 인문적 소양을 갖추지 못한 상인계급에겐 쉽게 다가가기 어려웠다. 주변에서 일상적으로 접하는 대상을 묘사한 정물화가 그들의 소박한 기호에는 제격이었다. 초상화와 장르화(풍속화)도 인기를 누렸지만 좀 더 폭넓은 인기를 누린 것은 정물화였다.

그러나 이 상인 부르주아지들은 자신들이 청교도임을 잊지 않았다. 그들은 이탈리아와 프랑스의 대 귀족들처럼 엄청난 크기의 그림으로 자신들의 부와 권세를 과시하지는 않았다. 그리고 장식적인 그림 속에 자신들에게 주어진 현세의 영화가 한시적인 것임을 잊지 말라는 상징적인 메시지를 담았다.

앞서 언급한 헤다의 ‘정물’은 풍족한 아침식탁을 그린 것이지만 그 위에 놓인 유리잔은 깨지기 쉬운 것이고 은제 컵은 금방이라고 식탁 아래로 굴러떨어질 것같다. 방금 가지에서 잘려나온 복숭아는 생명을 다한 것이고 빵과 햄은 시간의 경과와 함께 부패할 수 밖에 없다. 모든 게 다 불안하고 한시적이다. 결국 헤다의 정물화는 겉으론 현세의 풍요를 예찬하고 있지만 실은 인간 삶의 덧없음을 일깨우고 있는 것이다. 그 점은 보스하르트가 그린 화려한 꽃 정물화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난다. 창문턱에 아슬아슬하게 놓인 꽃병의 아름다운 꽃들은 조만간 시들 수밖에 없는 운명이다.

유럽의 미술관을 메운 수많은 정물화는 17, 18세기 네덜란드의 번영의 과정에서 탄생한 독특한 장르로 집안을 장식하려는 세속적인 욕구에서 출발한 것이지만 기독교 신앙의 근본정신을 잊지 않으려는 청교도 정신이 결합된 네덜란드 인의 지혜의 산물인 것이다.

 

글 정석범 (한국경제신문 문화전문기자, 파리1대학 미술사학 박사)


  1. 웰빙 풍수! 생활 풍수! - 안종선

    풍수지리(風水地理)라는 말을 알지 못하는 사람은 드믈 것이다. 풍수지리는 오래전부터 이 땅에 뿌리를 내린 학문이다. 우리 조상의 지혜가 모아진 학문이며 이 땅에 살아온 사람들이 기온과 바람, 풍수해(風水害)와 같은 자연의 현상과 싸워오고 살아남은 기...
    Date2016.05.08 Views138
    Read More
  2. 이탈리아의 명품 VERDI 오페라 - 임준식

    이탈리아의 막장 오페라 막장 드라마는 무조건 단도직입적이고 비 도덕성과 급진적 감수성의 난발을 무기로 한다. 그래서 그런지 비난하면서도 열광하는지 모르겠다. 세계의 여러 민족이 모두 그런 것은 아니다. 성향이 비슷한 지극히 감성적인 사람들이 모여...
    Date2016.05.08 Views203
    Read More
  3. 문화코드로 보는 중국과 중국인 - 전가림

      문화코드로 보는 중국과 중국인   글 전가림 호서대학교 교수     문화의 어원 문화는 영어로 ‘Culture’라고 하는데 이 용어는 라틴어인 ‘Cultura’에서 유래했다. 라틴어 ‘Cultura’는 매우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데, 대체로 경작, 거주, 연습 등의 뜻...
    Date2016.05.08 Views272
    Read More
  4. 말에도 ‘레시피’가 있다 - 김수민

    “듣는 것이옵니다.” “참는 것이옵니다.” “품는 것이옵니다.” 영웅을 갈망하는 현대인들의 마음을 반영하듯 요즈음은 사극이 대세다. 관객동원 신기록을 세우고 있는 영화 ‘명량’ 이전에도 조선개국의 기초를...
    Date2016.05.08 Views85
    Read More
  5. 경청과 웃음의 힘 - 박수영

      1. 예절(禮節)이란? 인간관계에 있어서 더불어 살아가는 상대방에 대하여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이며, 스스로 자제하면서 상대방의 입장을 배려하는 것이다.   2. 인간관계의 비결? 역지사지(易地思之)   3. 인간의 심리 ① +심리 : 기쁘다, 즐겁다, 고맙다 ...
    Date2016.05.08 Views198
    Read More
  6. 어느 지독한 택시기사 이야기 - 이창우

    대한민국 국민의 2%에 해당되는 100여 만 명이 택시기사와 그 가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택시기사의 월수입이 4인 가족 최저생계비 정도인 평균 130여 만원인 현실은 OECD 가입국가로서의 위상에 걸맞지 않다. 대다수의 택시 승객들도 “어렵다는 ...
    Date2016.05.08 Views312
    Read More
  7. 21세기 여성 리더십 - 김태련

    살아남기 위해서는 미래를 읽어야 한다. 변화의 속도가 생각의 속도를 추월할 정도로 빠르다. 더군다나 전 세계가 정보를 공유하면서 누가 먼저 창의적인 생각을 가지고 주도하느냐에 따라 국가의 운명이 달라진다. 2010년 투자자문회사인 골드만삭스가 세계...
    Date2016.05.08 Views123
    Read More
  8. 일본에 심은 한국문화 - 정영호

      일본에 심은 한국문화     글 정 영 호 단국대학교 석좌교수     일본이 오랜 역사 속에서 우리의 문화를 전수받아 성장, 발전함으로써 오늘의 일본을 이룩했다함은 양국 국민이 잘 알고 있는 일이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말하기를 「가까운 이웃이면서도 먼...
    Date2016.05.08 Views194
    Read More
  9. 마음먹기에 따라 운명은 얼마든지 바뀌어진다 - 김동완

    강연을 들으시는 분들께 먼저 사주팔자(四柱八字)에 대한 선입관부터 버리라고 충고하고 싶다. 실제 임상 활동을 해오면서 역학과 운명학이 변화의 학문, 개혁의 학문, 희망의 학문임을 여러번 실감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진정한 운명학이란 이미 결정 되어...
    Date2016.05.08 Views452
    Read More
  10. 북한이탈주민의 이해 - 조명숙

        북한이탈주민의 중요성  그동안 시도 때도 없이 위기를 조장하는 북한당국의 도발과 협박으로 인해 남한 내에서는 북한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이 강했다. 또한 북한 동포에 대해서도 외면할 수도 없고 돕자니 부담스럽게 생각하고 통일에 대해서도 부정적...
    Date2016.05.08 Views7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