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노트

조회 수 39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선농문화포럼_신년호_낱장.jpg

 

 

 

기생충과 혐오
북한군 오하사의 기생충

 

서 민
단국대 의예과 교수

 

 

 서민, 출판사 샘터

 

 

“한국 사람에서 이렇게까지 큰 성충이 장관 내에 발견된다는 건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2017년 11월, JSA를 통해 북한군이 귀순했다. 그 과정에서 북한군, 그러니까 오하사는 총알 다섯 발을 맞았고, 그로 인해 아주대병원 이국종 교수의 신세를 져야 했다. 수술이 끝난 뒤 가진 이국종 교수의 브리핑에서 사람들은 오하사의 몸에서 기생충이 나왔다는 사실에 경악한다. 오하사의 생사를 좌우하는 것은 폐와 골반, 그리고 장을 망가뜨린 총탄이건만 사람들의 관심은 오직 기생충이었다.

오하사의 몸에서 나온 기생충은 회충이었다. 기생충이라고 해서 못사는 나라에만 있는 건 아니지만, 회충은 주로 가난한 나라에 분포한다. 1970년대까지 우리나라에서 회충을 자주 볼 수 있었던 것도 다 그 때문인데, 그 낙후성에서 우리나라 1960년대와 비슷할 북한군의 몸에서 회충이 나온 것은 당연한 일이다. 실제로 우리나라로 건너오는 탈북자들은 대부분 기생충에 감염돼 있어 내가 몸담은 병원에서 회충이나 편충에 감염된 탈북자를 보는 것은 그리 드문 일이 아니다. 사정이 이렇다면 오하사의 몸에 기생충이 있다고 했을 때 다음과 같은 반응이 나와야 한다.

갑 : 기생충이 있다니, 북한은 참 낙후된 사회군! 우리도 못살 때 기생충 참 많았는데.
을 : 그러게. 국민들 건강에 써야 할 돈으로 미사일이나 만드니 그런 거지.
갑 : 빨리 통일이 돼서 북한 주민들을 기생충으로부터 벗어나게 해야 할 텐데.
을 : 우리 그럼 통일을 기원하며 한 잔 하세. 하지만 우리 사회의 반응은 사뭇 달랐다.
갑 : 으악. 기생충이 있다니, 게다가 27센티나 된다니 너무 징그러워.
을 : 그러게. 저런 게 어떻게 사람 몸에 있을 수 있지? 혹시 나한테도 있는 거 아냐?
갑 : 나도 요새 속이 허한 게 기생충이 있을지도 모르겠어. 최근 몇 년간 구충제를 통 안 먹었거든.
을 : 야야, 이러고 있을 게 아니라 우리 구충제나 사먹으러 가자.

실제로 오하사의 기생충 감염 소식이 알려진 뒤 구충제를 먹으러 간 사람들이 그렇게 많았단다. 우리나라에서 더 이상 기생충을 걱정하지 않게 된 건 오래 전의 일이다. 기생충 박멸을 위한 정부의 노력, 그리고 급속히 이뤄진 경제발전 덕분에 1992년 국내 기생충 감염률은 5% 이하로 떨어졌고 지금은 해안가나 강가를 제외하면 기생충 감염자를 찾아보기 어렵다. 북한과 우리나라는 엄연히 다른 나라이며 오하사의 기생충은 그 나라를 지탱해 온 체제가 실패로 돌아갔다는 얘기일 뿐이다. 북한에 굶는 사람이 있다고 해서 우리가 밥한 공기를 더 먹을 필요가 없는 것처럼, 오하사의 기생충이 우리가 구충제를 먹을 이유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우리가 그렇게 한 이유는 우리사회가 가진 기생충 혐오 때문이다.

우리에게 기생충은 귀신과 비슷한 존재다. 언제 우리 앞에 나타날지 모르고 일단 나타나면 큰 해를 끼친다. 귀신을 피하고 싶은데, 어떻게 생겼는지도 모르고 또 어디 있는지도 모른다. 그러니 누군가가 기생충에게 당했다면 그건 곧 내게도 닥칠 수 있는 일이 된다. ‘13살 아이에서 3.5미터 기생충이 나왔다고? 으악. 구충제 먹으러 가야겠다. 학교 급식에서 기생충이 나왔다고? 으악. 구충제 먹으러 가야겠다’와 같은 반응이 나오는 이유다. 2015년 바다생선에서 기생충이 있다는 뉴스가 나왔을 때, 사람들은 한동안 생선회를 먹지 않았다. 내 어머니는 전화를 걸어 이렇게 말씀하셨다. “민아, 생선회 절대 먹지 마라. 기생충 있단다.”  우리나라에 몇 안 되는 기생충 학자에게 기생충을 걱정하라고 전화하는 어머니라니, 이상하지 않은가? 그 뉴스 이전 우리는 열심히 생선회를 먹어왔고 그로 인해 문제가 생긴 사람은 거의 없다시피 했지만 사람들은 이런 객관적인 진실을 외면한 채 공황상태에 빠졌다. 기생충에 대한 공포가 얼마나 큰지 알수 있는 사례다.

혐오는 상당부분 무지에서 비롯된다. 우리사회에서 더 이상 기생충에 걸리는 게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안다면, 그리고 기생충에 걸린다해도 쉽게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을 안다면, 기생충에 대해 이렇게 까지 과민한 반응을 보이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모든 사람이 기생충을 갖고 있던 조선시대에는 다음과 같은 일이 벌어졌으리라.

갑 : 자네, 입에 뭐가 나오려고 하는데, 혹시 회충 아닌가?
을 : 아, 이야기해줘서 고마워. 어째 목이 좀 답답하더니만.
갑 : 하하, 그 회충도 자네 몸이 답답했나보군. 그러니 이렇게 밖으로 나왔지.
울 : 이 사람, 은근히 나를 디스하네? 내가 답답한 사람이라는 거야?
갑 : 하하하, 이거 들켰군. 오늘 술은 내가 사지.


그렇게 본다면 우리의 기생충 혐오는 우리나라에서 기생충이 멸종되다시피 한 결과일지 모른다. 인간 그러니까 호모사피엔스의 역사를 20만년으로 놓고 봤을 때, 우리는 그 대부분의 시간을 기생충과 함께 보냈다. 우리 조상들도 대수롭지 않게 대했던 기생충을 의학이 발달해 폐와 심장을 이식하는 지금 시대에 두려워하는 건 지나치다. 기생충이 많던 그 시절로 다시 돌아가자는 것은 아니다. 기생충에 대해 제대로 알아야 비정상적인 혐오를 멈출 수 있다는 얘기다.그래서 말씀드린다. 기생충 책을 읽자. 지식은 혐오를 극복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니까.
 
2.jpg

일본 도쿄 메구로 기생충박물관


우리 사회에서 더 이상
기생충에 걸리는 게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안다면,
그리고 기생충에 걸린다해도
쉽게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을 안다면,
기생충에 대해 이렇게까지 과민한 반응을
보이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1. 의약품 안전사용과 피해구제 - 한순영

            의약품 안전사용과     피해구제            한순영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장   “모든 약은 독이다. (Drug is Poison)” 의화학의 원조로 불리는 파라셀수스(Paracelsus, 1493∼1541)는 이 짧은 한 문장으로 ‘모든 약에는 약효가 있으면 독...
    Date2019.01.31 Views104
    Read More
  2. 요즘 날씨가 왜 이래요? - 이민재

    요즘 날씨가 왜 이래요? 이민재 ㈜넥스코아 대표 前 수원대 겸임교수   지속가능한 사회를 이끌어 나가기 위한 환경 문제의 이해와 해결 방법 - 우리의 할 일   최근에는 환경문제를 지속가능이란 용어를 사용해 설명하고 있으나 지속가능이란 용어 자체가 생...
    Date2019.01.31 Views167
    Read More
  3. 임금님도 모르는 경복궁 이야기 - 백승우

            임금님도 모르는     경복궁 이야기            백승우              궁궐 및 한양도성 문화재 해설가   조선 왕조 개국 3년인 1395년에 완공된 경복궁은 390여 칸으로 개 국 공신 정도전은 태조로부터 궁궐의 이름을 지으라는 명을 받았 고, 고심 끝...
    Date2019.01.31 Views95
    Read More
  4. 한국 바로알기 - 김태련

    한국 바로알기        김태련     아이코리아 이사장     이화여대 명예교수           제2차 세계 대전 후 새로 탄생한 나라 가운데 대한민국처럼 짧은 시 간에 산업화와 민주화를 이루고 세계 10대 경제 대국에 오른 나라는 전 세계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다...
    Date2019.01.31 Views126
    Read More
  5. 알아두면 쓸데 있는 법률상식 - 강현철

      알아두면 쓸데 있는 법률상식   강현철 법률사무소 공명 변호사   일상을 살면서 법을 따질 일이 없으면 좋겠지만, 자의반 타의반으 로 법률상식이 필요한 경우들이 있다. 이에 일상생활 중에 알아두 면 쓸데 있는 법률상식 몇 가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
    Date2019.01.31 Views232
    Read More
  6. 역사문화도시 서울, 한양도성에 대해서 - 백승우

    역사문화도시 서울, 한양도성에 대해서   글·사진 백승우 궁궐 및 한양도성 문화재 해설가   서울 한양 도성은 서울의 정체성을 규명하고 정립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사 문화유산이다. 서울 시내에서 멀지 않은 버티고개역에서 불과 몇 십미터만 올라가면 보이...
    Date2018.08.23 Views140
    Read More
  7. 論語 함께 읽기 -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 조영길

    論語 함께 읽기 -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조영길 以文會 漢文講讀 訓長   기원전 551년 주(周)나라의 제후국인 노(魯)나라 창평향(昌平鄕) 추읍(陬邑)에서 아버지 숙량흘(叔梁紇)과 어머니 안징재(顔徵在) 사이에서 출생한 공자(孔子)는 이름이 구(丘)이고자(...
    Date2018.08.23 Views193
    Read More
  8. 무궁화 다기 가루차 나눔다례 - 이일희

    무궁화 다기 가루차 나눔다례   이일희 前 한국걸스카우트연맹 부총재       Ⅰ . 서론 다례는 차문화의 꽃으로 그 뿌리는 차의 정신이다.‘차의 재배, 육종, 제다(製茶)’는 ‘줄기’요, ‘복식, 음악, 실내장식, 꽃꽂이’ 등은 ‘잎’이요, ‘참선, 명상, 사색’ 등을 ...
    Date2018.08.23 Views129
    Read More
  9. 나의 봉사활동 이야기 - 신승애

    나의 봉사활동 이야기   신승애 이화여대 명예교수   나는 2004년 8월에 이화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교수를 정년퇴직했다. 거의 40년 동안 이대에서 가르친 나는 퇴직을 앞두고 희망에 부풀어 있었다. 생각해 보라. 약 40년 동안 계속해서 의무적으...
    Date2018.08.23 Views231
    Read More
  10. 먹거리에 대한小考 - 이민재

      먹거리에 대한小考   이민재 ㈜넥스코아 대표 前 수원대 겸임교수   건강하고 풍요로운 삶을 이루기 위한 먹거리에 대한 이야기   요즘 인간의 수명이 100세를 돌파해 최근엔 120세까지도 나오는 모양이다. 인류가 탄생한 이래 ‘먹거리’는 생명유지수단 외...
    Date2018.08.23 Views148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