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노트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뇌질환.jpg

 

21세기를 대표하는 키워드인 ‘뇌’가 과학, 건강 분야를 넘어 생황의 변화를 촉진하고 있다. 마음이 뇌의 작용이라는 뇌 과학적 연구가 이루어짐에 따라 인간의 행동을 규정하는 생각과 사고, 집중력, 정서 작용, 인성의 가치추구에 대한 접근방식이 달라지고 있는 것이다.

 

인간의 뇌는 육체와 함께 추구하는 육체적인 삶,. 사회적인 성공을 목표를 삼는 소셜 라이프, 그리고 영적인삶, (Spiritual Life)을 추구한다. 성장하는 삶을 사는 사람 공동체의 가치에 눈 뜨게 되고, 서로 도우며 더불어 사는 방법을 찾아 실천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게된다. 우리 뇌는 ‘난 누구인가’ 하는 질문을 할 수 있을 만큼 자아성찰을 통해 정신적 가치를 추구한다.

 

영화는 거의 모든 현실을 반영한다. 영화의 장점은 상상으로서는 완성할 수 없는 것들을 보여준다. 최근에는 의학적 상식을 토대로 여러가지 뇌 질환을 고해상의 화질을 통해, 다양하고, 무한한 추측이 가능한 좀 더 입체적인 느낌이 들고 감각적으로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이에의해 영화에 의한 희노애락의 간접경험을 통하여, 더욱이 영화 안에서 주인공의 연기에 따라 자신을 되돌아볼

수 있다. 영화는 어렵고 복잡한 의학지식을 배우자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얼마든지 겪을 수 있는 상처에 대해 알아볼 수 있는 것이 뇌 질환과 엮여있는 영화의 장점이다.. 영화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을 바탕으로 인물들이 보여주는 다양한 대사, 행동, 증상들을 통해 ‘ 사람이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부록처럼 붙어 있는 의학적 지식과 소견은 정보 제공을 하면서 다른 영화에 적용해 볼 수 있는 가능성까지 열어두어 흥미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다채로움 들은 많은 영화가 신체의 여러 질병 중에서 뇌 질환을 유난히 주제로 하는 이유가 된다.

 

뇌에는 100억 개가 넘는 뇌세포가 있으며, 각각의 뇌세포는 하나당 1000개에서 10000개의 시냅스를 통해 다른 뇌세포들과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기능에 따라 수많은 띠로 복잡한 연결구조를 가지고 있다. 모든 뇌 질환은 아마도 비정상적인 시냅스 또는 연결이 되질못해 나타나는 것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는 부부, 가족, 사회, 국가의 구성원이 잘못된 연결이 되면 매끄러운 조

화를 이루지 못하는 현상과 같다.

 

뇌 질환은 대부분 아주 천천히 형성되지만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순식간에 무너질 수도 있다. 뇌 질환 환자들에게는 정서적 고통을 진심으로 이해하고 자신들의 부적응적인 행동까지도 포용해줄 수 있는 사람이 하나라도 있을 때 비로소 안정감과 연결 감을 느낄 수 있다. 이런 안정감과 연결감을 느낄 수 있어야 비로소 뇌 질환 환자를 이해할 수 있다. 이해야말로 치유의 진정한 시작이기 때

문이다.

 

오랜 세월 동안, 신경, 뇌, 정신질환을 철학자 또는 정신분석학자/의사 등에 의존하여 진단, 해석,치료하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MRI, PET등의 발전된 진단기기에 의해 특정 개인에 의한 주관적인 해석보다는 구체적이고 누구에게나 접근 가능한 객관적인 뇌 질환의 진단과 질병이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을 알 수 있게 되었다. 특히 기능성자기공명영상은 사람이 무엇을 생각하고 있고, 생각의 변화를 뇌 안에서의 변화를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발전하였기 때문에, 인간의 마음을 읽을 수 있고 심지어는 기술을 더 개선할 경우 신체가 마비된 환자들과의 의사소통도 가능할 수 있겠다.

 

향후 평균 년령 100세를 바라보는 고령화 사회에서 , 급속히 증가하고 있고, 우리가 만날 가능성이 많은 여러가지의 뇌 질환에 대한 이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흔히 볼 수 있는 뇌 질환을 영화 속에서의 상황과 비교하고, 기본적인 해부학적, 병리학적인 감각등의 의학 지식을 이해함과 더불어, 향후, 건강한 뇌를 가지고 생활 방법들을 생각하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김선용 아주의대 영상의학과 교수의 <영화 속의 뇌 질환>은 오는 4월 19일에 진행될 예정입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바랍니다. 자세한 사항은 선농소식 7page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갈등이 없는 관계는 죽은 관계이다.’ - 고영희

      가끔 부모교육 특강을 가면 필자는 이런 질문을 한다.   “아이들이 여러분 말을 잘 듣나요???”   그러면 십중팔구 손을 절래 절래 흔들면서   “징그럽게 말 안 들어요. 속상해 죽겠어요!” 라는 답이 돌아온다.   내친 김에 “그럼 남편(아내)께서는 말 잘 들...
    Date2016.05.02 Views112
    Read More
  2. 역사에 리더십을 묻다! - 김진혁

      역사에 리더십을 묻다! 글 김진혁 (미래성공전략연구소장/행정학 박사)     퇴근해서 옷도 채 갈아입지 못한 남편에게 아내가 몰아세웠다. “여보, 알지? 201호 사는 여자, 교양이 없어도 그렇게 없을 수가 있나, 자기가 기르는 애완견이 아무 때나 짖어도 ...
    Date2016.05.02 Views140
    Read More
  3. 달팽이가 가르쳐 준 세상 - 권오길

      모계성 유전하는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에너지의 대명사인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와 녹색을 품은 광합성의 본체인 엽록체(葉綠體)는 긴긴 세월동안 세포가 바뀌어 온 탓이다. 전인미답(前人未踏)의 시절, 약 15억 년 전에 애당초 독립해서 살던 ...
    Date2016.05.02 Views823
    Read More
  4. 베토벤, 새로운 시대! - 정윤수

        프랑스 혁명은 거대한 변화를 몰고 왔다. 우선 귀족 계급과 지식인의 보금자리인 살롱이 폐쇄당했다. 두세기 동안 지식사회에 막강한 권력을 행사해 온 살롱은 혁명 이후 불과 10여 년만에 그 권위가 무너졌다. 정보의 교감과 토론의 광장이었던 살롱이 ...
    Date2016.05.02 Views78890
    Read More
  5. ‘3만불 시대, 한국 경제의 변화’ - 김형주

        우리도 1인당소득 2만(20K, K=1000)달러, 인구 5천만(50M, M=Million)명 을 뜻하는 ‘20-50 클럽 ’에 진입했다. 일본(1987년), 미국(1988년), 프랑스 및 이탈리아(1990년), 독일(1991년), 영국(1996년)에 이어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국민소득이 2만 달러를...
    Date2016.05.02 Views115
    Read More
  6. 한국의 명문가(名門家) - 조용헌

          한국의 명문가(名門家) 글 조용헌 (동양학자, 조선일보 칼럼니스트)   명문가는 전통고택을 보유한 집안이다. 어떤 집안을 명문가로 볼 수 있는가. 보는 관점에 따라 매우 다양한 기준이 적용될 수 있겠지만, 필자는 전통 고택을 현재까지 보존하고 있...
    Date2016.05.02 Views438
    Read More
  7. <死의 찬미> 속에 숨은 비밀 - 강헌

        삶에 열중한 가련한 인생아! 너희는 칼 위에 춤추는 자로다. 신여성 소프라노, 조선 음악산업의 역사를 개막하다.   박채선과 이류색 이 두 기생에 의해 녹음된 <이 풍진 세월>이 한국 대중음악사의 여명이라면 1926년 소프라노 윤심덕에 의해 녹음된 <사...
    Date2016.05.02 Views261
    Read More
  8. 어떻게 살아야 하나? - 안동현

          변화가 보이지 않던 상태에서 갑자기 폭발적 변화를 보이는 경계점을 물리학에서는 특이점(singular point)이라고 부른다. 지진이나 화산 폭발은 어느 한 순간에 일어나는 일이지만 실상은 오랜 세월 땅속에서 지각변화가 이루어지다가 힘의 균형이 무...
    Date2016.05.02 Views101
    Read More
  9. 새로운 삶을 위한 창의력 개발법 - 이광형

        창의성은 기를 수 있는가? 아니면 창의성은 타고난 것인가? 노력하여도 길러지지 않는 것인가? 이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서는 창의성이 무엇인가 알아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창의성은 새로운 생각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새로운 생각은 질문을 많이 하고 ...
    Date2016.05.02 Views121
    Read More
  10. 클래식 친구되기, 바흐를 중심으로 - 정윤수

        클래식 친구되기, 바흐를 중심으로   정윤수 (성공회대학교 외래교수)     바흐는 젊은 날에 아른슈타트와 뮐하우젠에서 오르간 연주자로 일했으며 바이마르 공작의 예배당에서는 오르간을 다뤘고 서른이 넘어서는 쾨텐의 궁정악장을 맡았다(1717-1723년)...
    Date2016.05.02 Views122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