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의 인물

조회 수 22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장자공1.jpg

 

 

현대중국의 대표적인 석학 린위탕(林語堂)은 중국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중국의 문자(漢字)와 만리장성 그리고 멘즈(面子:체면)를 알지 않으면 안 된다고 했다. 이 세 가지는 유형과 무형의 중국문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인들은 전통적으로 글자로 쓴 말을 말로 한 말보다 우위에 두었고, 그것을 소중하게 여기는 강한 감정을 지니고 있었다. 이로 인해 신에 대한 기원은 말이 아닌 글로만 하였다. 또한 문자의 조직이 복잡한 까닭에 문자에 대한 미학적 흥미를 갖게 되어 글자를 잘 쓰는 사람을 교양인으로 인정하였다. 그리하여 서도는 위대한 예술로 받아들였고, 각기 다른 방언을 사용하고 있더라도 중국문자를 해득하면 언어상의 장벽은 쉽게 극복되어 동문(同文)=동족(同族)이라는 등식의 성립을 가능케 했다. 그 같은 등식은 언어와 풍속이 다른 수많은 중국인들을 결속시키는 촉매가 되었다.

 

이처럼 문자에 대한 이해와 인식은 중국인들로 하여금 문자를 교양으로, 서도를 예술로 동문을 동족이라는 의미 부여는 물론, 그 문자로 기록된 역사와 문학 그리고 예술 등 기록문화 전반에 이르는 그들 특유의 문화코드를 형성하였다.

 

만리장성은 사람의 상상을 뛰어넘는 축성 기간과 규모, 동원된 인력과 물자 그리고 고산과 준령을 연결하는 난공사를 마다하지 않고 완성시켰다는 사실은 경탄에 앞서 보는 이의 모골을 송연케 한다. 일찍이 마오저퉁(毛澤東)은 「열자」탕문편에 나오는 ‘우공이산(愚公移山)’이라는 우화를 즐겨 말했다고 한다. 까닭은 자라지 않는 산을 자자손손 이어지는 인력으로 옮기는 데는 ‘합리적 가능성’이란 의식이 작동하고 있다는 것이다. 거대한 영토에 살고 있는 수많은 중국인들을 공산화시키는 것은 ‘우공이산’만큼이나 어려운 것이었으나 합리적인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만리장성의 축조와 일맥상통한다고 하겠다. 역사적 유물인 만리장성은 중국인에게는 곧 ‘할 수 있다(能)’는 믿음으로 통한다. 그러므로 고대로부터 현대중국에 이르는 일체의 토목공사와 유형의 인공구조물들은 중국인 특유의 기질과 스케일 그리고 ‘할 수 있다’는 합리적 가능성을 기저로 한 문화코드로 접근하지 않고는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장자공2.jpg

중국이 전통적으로 윤리와 도덕을 중시한 것은 그것이 부재했거나 부족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결과적으로 다른 사람에 대한 배려를 중시하는 문화를 형성시켰다. 그리하여 오륜과 삼강은 중국사회의 중심 가치인 동시에 정신적 지주가 되었다. 윤리와 도덕이 강조되면 될수록 다른 사람을 배려하게 되었고, 이 같은 사회적 배려는 인간관계를 특별히 중시하는 문화를 만들어냈다.

 

좋은 인간관계는 인간적인 배려 속에서 유지되고 발전되기 때문에 배려의 대상과 자신에 대한 세심한 주의와 자제는 결과적으로 멘즈를 그 무엇보다 중시하는 사회를 만들었다. 멘즈는 좋든 나쁘든 간에 인간관계인 ‘꽈안시(關係)’문화를 이루었다. 중국에서 꽈안시가 막강한 힘을 발휘하는 것은 그것이 커넥션이나 인맥, 연줄 등으로 해석되는 중국인 특유의 끈끈한 결속력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중국인들의 의식구조와 사고패턴을 이해하는 데 있어 멘즈에 대한 이해는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왜냐하면 멘즈는 중국인들의 의식과 사고에 특유의 의미를 부여하면서 모든 인간관계 속에서 폭넓게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중국의 문자와 만리장성 그리고 멘즈에 대한 통섭적인 이해는 중국, 특히 유무형의 중국문화 전반을 이해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중국인들로 하여금 의식 무의식적으로 어떤 대상에 대하여 모종의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기 때문이다.

 

글 장공자 (충북대학교 명예교수)

 


  1. 호텔리어 사진작가 백승우

    취미가 돈이 될 줄 누가 알았겠어요? 호텔리어 사진작가 백승우(白承雨)     My Seoul : Hidden Gems (2018) 수려한 한강 경관이 내려다보이는 남산에 위치한 호텔 로비에는 반짝이는 연말 크리스 마스 트리 주변으로 많은 사람들이 오갔다. ‘약수동 출근길’...
    Date2019.01.31 Views646
    Read More
  2. 그녀의 손을 거치면 마법처럼 잘 팔린다! 세계 3대 디자인 어워드 휩쓴 이유리씨

            그녀의 손을 거치면 마법처럼 잘 팔린다! 세계 3대 디자인 어워드 휩쓴 이유리씨   스티브 잡스는 엔지니어, 경영인의 단계를 지나 최종적으로 디자이너로서 생애를 마쳤다. ‘사람들은 만들어서 보여주기 전에는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모른다’...
    Date2018.08.23 Views1746
    Read More
  3. 조환복 前멕시코대사 / "37년간 각국을 돌며 받았던 질문, 이제 대답할 때입니다."

    “37년간 각국을 돌며 받았던 질문, 이제 대답할 때입니다.” 조환복 前멕시코 대사 인터뷰     생각하는 대로 살지 않으면 사는 대로 생각하게 된다는 말이 있다. 前멕시코대사 조환복(영남대 석좌교수)은 37년의 공직생활을 마치고 ‘생각해 오던 대로’ 인생의...
    Date2018.01.22 Views837
    Read More
  4. 제2의 인생은 이런 것/정강현 여유회 회장

      1966년에 서울사대부고를 졸업한 18회에는 ‘여유회’라는 특이한 모임이 있다. 동기들에겐 너무나도 친숙한 이름이 지만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는 감이 잘 잡히지 않는 모양 이다. 이름 자체가 생경해서 그런지 졸부가 된 여유 있는 부자들끼리 모여 돈 자...
    Date2017.08.28 Views310
    Read More
  5. 와인과 음악의 만남 / 변형완

      아마추어오페라가수가들려주는‘인생2막     지난해 하반기 선농문화포럼에서 와인강좌로 최고의 인기를 끌었던 변형완 저스트와인(Just Wine) 대표를 만났다. 마침 오페라 '라 트라비아타'의 공연 시작을 앞두고 있는 금요일 저녁이어서 그런지 약속 장소인 ...
    Date2017.01.23 Views673
    Read More
  6. 14년 만에 산문집 발표한 현기영 인터뷰

      소설가는 늙지 않는다     소설로 위대했던 작가들의 산문집을 읽는 것은 사실 좀 두려운 일이다. 픽션의 바다에서 보여주었던 세계관과 문장들이 소소하게 개인화하면 서 신비감이 사라지고 사변의 수준도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 이다. 이리저리 ...
    Date2016.08.29 Views264
    Read More
  7. <서산 부석사 관음상의 눈물>著者 김경임氏 인터뷰

      <서산 부석사 관음상의 눈물> 著者 김경임 氏  인터뷰     약탈 문화재 환수 문제의 전문 외교관 출신 오벨리스크, 몽유도원도에 이은 3부작 출간     2012년 10월 2일 대마도 중서부 해안의 외진 기사카 마을. 저녁 7시 무렵이 되자 적막한 바다를 마주한 ...
    Date2016.04.11 Views375
    Read More
  8. 저시력자 안경개발에만 35년... 강.정.근

      저시력자 안경개발에만 35년… 강.정.근.     안경아, 고맙다! 고쳐줄 수는 없지만, 보게 할 수는 있어요   바야흐로 100세 시대가 열렸다. 평균수명이 늘어나면서 마흔부터 청춘이라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지만, 40대 중반이 되면 대부분 근거리가 침침해 보...
    Date2016.04.11 Views4473
    Read More
  9. 윤석남의 페미니즘 미술 엿보기

          “그 동안 회고전을 하자는 제안을 여러 번 받았지만 다 사양했어요. 내가 그런걸 해야 할 정도로 늙었나? 난 아직도 할 이야기가 너무 많은데… 그런 생각이 들어서요. 미루고 미루다 이번에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처음 회고전을 하는데, 말이 회고전이지 ...
    Date2016.04.11 Views326
    Read More
  10. 탈북청소년 대안학교 여명학교 ‘조명숙 교감’

      탈북청소년 대안학교 여명학교 ‘조명숙 교감’     글 정하영 (한국철강신문 편집국장)         일상이 참으로 팍팍한 세상이다. 일신(一身)을 위해 살다보니, 아니 욕심내다보니 모두 여유가 없다. 이타(利他)는커녕 주변을 돌아보고 챙겨볼 엄두를 내기도 ...
    Date2016.04.11 Views5256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