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농칼럼

조회 수 49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옛 그림으로 본 선비의 됨됨이와 풍류

 

손철주 미술평론가

 

 

선비3.png

 

옛 그림은 장르에 따라 그리는 비결이 따로 있습니다. 옛 선비들의 됨됨이를 알아볼 수 있는 장르는 초상화이겠 지요. 초상화를 그리는 비결은 무엇일까요. 바로 ‘꼴을 그려 얼을 살리기’랍니다. 꼴은 외모, 얼은 정신입니다. 외모에서 정신을 찾는 것이 초상화의 핵심이지요. 외모 에서 어떻게 정신을 찾을 수 있습니까. 그 키워드는 ‘성 어중(誠於中) 형어외(形於外)’입니다. 곧 ‘마음에 성의가 있으면 겉으로 모양이 드러난다’는 말이지요. 겉모양은 마음 씀씀이를 짐작하게 만듭니다. ‘초상’이란 말의 뜻을 생각해보십시오. 그것은 ‘생긴 것이 닮았다’는 뜻입니다. 이때의 ‘닮음’이란 얼굴만이 아니라 그 사람의 행동과 생 각까지 아우르는 말이겠지요. 옛날 초상화는 꼴과 얼이 하나로 합쳐져 있으니, 모델이 되는 그 사람의 생김새와 마음씨를 동시에 엿볼 수 있는 그림입니다.

 

선비들의 풍류는 어떠했을까요. 예부터 이런 말이 있었 습니다. ‘서울 양반은 입는 옷 사치, 호남 양반은 먹는 음 식 사치, 영남 양반은 사는 기와집 사치.’ 잘 먹고 잘 사 는 양반이라 해도 올바른 양반은 풍류정신을 알면서 노 블레스 오블리주를 실행했을 테지요. ‘풍류’는 바람 風, 흐를 流를 씁니다. 그만큼 풍류의 의미는 변덕스럽고 다 채롭습니다. 조선시대에 들어오면서 ‘멋과 운치를 즐기 는 아려한 삶의 태도’로 풍류의 의미는 대체로 굳어집니 다. 지나쳐서 방탕한 경지로 가는 경우도 있지만, 우리 옛 그림에 등장하는 선비들의 풍류는 시서화 정신에 바 탕을 둔 웅숭깊은 인문적 풍경을 자아냅니다. 그들의 풍 류세계를 그림으로 만나보는 일은 흥미진진할 수밖에 없겠지요.

 

단원 김홍도(金弘道)는 표범의 가죽을 그린 아주 독특한 를 남겼는데요. 살아 있는 표범이 아니고 왜 하필 표범의 껍질을 그렸 을까요. 껍질을 그려 놓으니까, 표범의 무늬가 더 선명하게 보이죠? 여기 에 답이 있습니다. 옛날 《주역(周易)》에 보면, ‘혁’이라는 괘를 설명하는 괘사가 나와 있는데요. 가죽을 혁(革)이라고 하죠? 피혁은 겉껍질이라는 뜻입니다. 주역에 혁괘(革卦)를 설명하는 대목에 ‘대인호변(大人虎變) 군 자표변(君子豹變) 소인혁면(小人革面)’이라고 했습니다. 대인은 자기가 바 뀌는 게 어떻게 바뀌느냐 하면 가을철에 호랑이가 털갈이 하듯이 바뀐다 는 얘기입니다. 군자는 어떻게 바뀌느냐. 표범이 털갈이 하듯이 바뀐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소인은 혁면이라, 낯짝만 바꾼다고 했지요. 여기서 표변 (豹變)이라는 말이 나옵니다. 사전을 찾아보면 표변이 뭐라고 나옵니까? 그냥 약속이나 신의를 이렇게 손바닥 뒤집듯이 순식간에 바꾸는 것을 보 고 저사람 표변했다고 하죠? 원래 그 뜻은 표범이 가을날 털갈이를 하듯이 변한다는 얘기로 좋은 의미입니다. 그런데 원래의 표변이 나쁜 의미로 전 용이 된 것이죠. 군자는 표범이 털갈이 하듯이 변해야 한다. 그만큼 자기 개혁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삼국지에 나오는 인물 중에서 손권(孫權)의 참모인 여몽(呂蒙)이라는 사람 이 있었는데, 여몽이 머리는 대단히 좋은데 노력을 안 했다고 해요. 군자가 되어서 책 읽기를 게을리 하면 곤란하지 않습니까. 그래서 손권이 하루는 여몽을 불러서 얘기를 합니다. “자네는 재주도 좋고 말이지, 머리도 상당 히 좋은 사람인데, 어찌하여 노력을 게을리 하는가?” 군주가 한마디 하니 까, 여몽이 큰일 났다 싶어서 그때부터 작심을 합니다. 그런데 어떻게 변했 느냐! 여기서 어떤 얘기가 나오느냐, ‘사별삼일 괄목상대(士別三日 刮目相 對)’라는 말이 나왔습니다. ‘선비는 사흘만 헤어졌다가 만나면, 눈을 비비 고 봐야 할 상대로 바뀌어 있다.’ 이런 얘기입니다. 군자의 개혁이 그런 겁 니다. 사흘 만에 자기 자신을 완전히 갱신시키는 놀라운 개혁! 이것이 바로 표변입니다, 표변! 그러니까 단원의 이 그림은 아마도 사대부 집안에서 자 기를 개혁하기 위해 목표를 정한 벼슬아치가 이런 그림을 부탁해서 걸어 놓고 자기 교훈으로 삼지 않았는가…

 

이런 생각이 듭니다. 매미 그림도 있습니다. 매미에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선비의 삶과 관련이 있습니다. 매미의 수명은 어떻습니까? 고작 일주일 남짓입니다. 그 기간 신나게 울다가 그리고는 어디론가 사라집니다. 목숨이 짧지요. 다만 매미 는 애벌레 시절이 깁니다. 성충이 되기까지 땅 속에서 7년 이상을 기다립 니다. 매미는 나무로 올라가기까지 오랜 기다림을 감수해야 합니다. 이것 이 선비나 사대부들이 지녀야 할 덕목과 닮았습니다. 옛 문인이 말했어요. 매미는 오덕(五德)을 갖고 있다고 말입니다. 첫 번째가 ‘문(文)’입니다. 매 미의 이마를 보면 더듬이가 있지요? 그것을 보고 갓끈이라고 생각을 해서 옛날 사람들은 매미도 문자 속이 있을 거라고 믿었지요. 그래서 매미의 첫 번째 덕목이 ‘문’입니다. 두 번째는 ‘청(淸)’입니다. 매미는 무엇을 먹죠? 깨 끗한 나무 수액을 먹습니다. 그래서 두 번째 덕은 ‘맑을 청’이 되는 겁니다.

 

선비4.png

 

 

세 번째는 ‘염(廉)’입니다. 매미는 남이 지어놓은 곡식을 축내지 않죠? 쌀, 보리에 입을 대지 않아요. 그러니까 염치가 있는 겁니다. 네 번째는 ‘검(儉)’ 입니다. 매미는 자기가 살 집을 따로 짓지 않습니다. 매미는 부동산 투기를 안 하는 것이죠. 검소하게 살기 때문에 ‘검’입니다. 마지막 덕이 무엇이냐? ‘신(信)’입니다. 매미는 여름 내내 울다가 철이 바뀌면 떠나야 할 때를 알고 떠나죠? 그래서 신의가 있습니다. 문(文), 청(淸), 염(廉), 검(儉), 신(信). 이 다섯 가지가 매미의 오덕입니다. 매미의 오덕은 선비나 사대부, 벼슬할 사 람이라면 누구나 지녀야 할 덕목입니다. 매미를 보면서 선비와 군자가 지 켜야 할 덕목을 강조할 수 있는 것이지요. 벼슬아치들이 쓰고 있는 모자를 오사모(烏紗帽)라고 부르는데요. 오사모를 보면 날개처럼 옆으로 나와 있 는 것이 있죠? 이게 매미가 날개를 펼친 겁니다. 임금의 모자는 익선관(翼 蟬冠)이라고도 하는데, 날개 익(翼), 매미 선(蟬)자가 들어있죠. 그 매미 날 개가 우뚝 서 있습니다. 매미가 날개를 쫙 모아 비상하는 그런 기상을 보 여 주는 겁니다. 벼슬하는 이들의 관모에 매미의 날개가 붙은 것도 다섯 가지 덕과 연관됩니다.

 

양반이 벼슬을 마다하고 내려와서 은거를 하면 어떤 식으로 살았는지 알 아봅시다. 단원 김홍도가 그런 그림을 남겼습니다. 단원의 는 선비 집안의 인테리어를 엿보게 합니다. 먼저 그림 속의 저 선비가 맨 발인 것이 눈에 띕니다. 그만큼 선비의 정신이 얽매임 없는 자유를 누린 다는 의미겠지요. 선비가 들고 있는 것이 당비파(唐琵琶)입니다. 시서(詩 書) 뿐만 아니라 음악을 즐길 줄 알아야 참다운 군자가 된다고 일찍이 공 자가 말씀하셨지요. 왼쪽에 보면 천으로 싸 놓은 뭉치들이 있는데, 이게 전부 다 서책입니다. 바닥에 보면 파초(芭蕉)가 있습니다. 선비 집안에 파 초가 있는 것은 그저 관상물만 되는 것이 아니라, 열심히 독학하는 것의 상징이기도 합니다. 당나라 때 중국의 회소(懷素)라는 아주 유명한 서예 가가 있었는데, 집안이 너무 가난해서 붓글씨를 연습할 종이를 살 수 없 어 넓은 파초 잎에 먹을 갈아 붓글씨 연습을 했습니다. 쓰고 나서는 물에 한번 설렁설렁 흔들면 먹이 달아나니까 또 쓸 수 있는 것이죠. 그래서 파 초는 독학의 의미가 생겼습니다.

 

그 옆에 붓이 있고 벼루가 있습니다. 문인들의 네 가지 벗을 문방사우(文 房四友)라고 하지요. 지, 필, 묵, 연입니다. 그 앞에 선비 발치에 놓인 것이 ‘생황(笙簧)’이라는 악기입니다. 입에 대고 불면 구슬픈 소리가 나는 관악 기죠, 칼도 있습니다. 칼이 품고 있는 상징이 있기 때문입니다. ‘단칼’이라 는 말에서 우리가 느끼듯이 자신의 게으른 마음을 경계하는 것, 그리고 깨 어 있는 정신이나 진실, 이런 것이 칼이 내포한 상징입니다. 그 때문에 문 인도 칼을 하나씩 집안에 두고 있었습니다. 뒤쪽에 보면 표주박이 있습니 다. 표주박 속에 무엇이 들어있을까요. 아마 술이 들었겠죠. 비파를 뜯고 생황을 불고 연주하다가 또 흥이 나면 술을 마시고 저기 있는 두루마리를 펼쳐서 또 시 한 수를 적고 그랬겠죠. 단원의 그림에 들어 있는 글을 보면 이 선비의 의사를 알 수 있습니다. 紙窓土壁(지창토벽) 終身布衣(종신포 의) 嘯詠其中(소영기중). 종이로 창을 만들고 흙으로 벽을 바른 곳에서 평 생 삼베옷 입고 살지만 그 속에서 노래하고 읊조리리라. ‘포의’를 입고 산 다는 말은 벼슬을 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관복을 입지 않는다는 뜻이지 요. 벼슬을 안 해도 좋다, 종이로 만든 창 그리고 흙으로 지은 벽, 그 속에 서 노래하고 시를 지으며 살고 싶다. 참 소박한 꿈입니다.

 

 

책 소개 <그림 보는 만큼 보인다>

 

미술평론가 손철주의 (2011, 오픈하우스)는 미술과 인간의 삶을 절절하게 다루는 저자 고유의 미문美文을 맛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읽을 때 마다 새로운 느낌을 전해주는 스테디셀러다. 고 전과 현대, 동양과 서양을 넘나드는 저자의 해박함은 극적劇的인 문체를 더욱 돋보이게 하며 그림뿐 아니라 그림을 그린 작가의 성정까지 짐작할 수 있을 만큼 생생하다. 백문불여일견百聞不如一見이 그림이라고 예외 일까? 이 책은 그림에 관심은 많은데 보는 법을 모르겠다고 고민하는 사 람들을 위해 저술된 것이다. 저자는 그림은 즐겨야 할 대상이므로 편견 과 독단으로 가득한 감상일지라도 아는 대로 자신 있게 이야기해보라고 권하면서 그와 가깝게 다가서도록 이끈다

 

선비5.png

 


  1. 종전선언과 한반도 평화

    김판규 세종대 석좌교수 전 해군참모차장(예비역 중장)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9월 21일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한반도 평화의 입구로서 '종전선언'을 제안했다. 북한의 김여정은 '유엔의 대북제제 해제 등 선 적대시 정책 철회'를 조건으로 남북 정상회담 가...
    Date2022.01.22 Views54
    Read More
  2. 신성한 주권 행사, 유권자의 노력은 필수

    김서중 성공회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올해 3월에는 5년간 국정을 책임질 대통령을 뽑는 선거가 있다. 대의제 민주주의에서 선거는 정치의 꽃이다. 대부분의 시민들이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이기 때문이다. 즉 민주주의 국가에서 민의를 반...
    Date2022.01.22 Views60
    Read More
  3. 전격제트작전 주인공, 키트를 기억하십니까?

    차두원 자동차 인간공학 박사 차두원 모빌리티연구소 소장       1985년부터 1987년까지 국내에서 가장 시청률 높았던 해외 프로그램 중의 하나가 바로 전격제트작전입니다. 에어 울프, 블로 썬더 등 최첨단 첨단 기술을 갖춘 이동수단들이 등장하며 많은 관...
    Date2022.01.22 Views222
    Read More
  4. 고도 비만에 빠진 공공 부문, 다이어트 고통은 미래세대 몫 _ 조동근

        오프라 윈프리(O. Winfrey)는 미국의 재치 넘치는 흑인 여성 방송 진행자다. 그녀는 미국인의 과(過)체중에 관심이 많다. 그녀가 “하나, 둘, 셋, 뚱뚱”을 외친다. 미국 성인 남자 4명중 1명이 과체중이란 얘기다. 과체중은 비만 직전 단계로 모든 성인병...
    Date2021.09.05 Views89
    Read More
  5. 심부전과 살아가기: 유방암과 심부전 _ 김경희

      김경희 인천 세종병원 심장 이식센터장                           5년 전, 외래를 보던 중이었다. 간호사가 다급하게 문을 열어 한 환자를 봐 달라고 소리쳤다. 외래를 기다리던 50대말의 여자 환자는 고개를 떨구고 푹 늘어진 채로 정신을 잃어 가고 있었...
    Date2021.09.05 Views133
    Read More
  6. 쇼는 멈출 수 없다_김경임

    선농문화포럼 발족 10주년을 축하드리며 우리도 남부럽지 않은 명품 문화포럼을 갖게 된데 큰 자부심을 갖는다. 그간 포럼에 소속돼 포럼이 제공해준 다양한 강의와 여행에 참여했던 즐거운 기억을 회상하면서 포럼 10주년에 우리를 엄습한 작금의 엄혹한 코...
    Date2021.01.28 Views100
    Read More
  7. 바이든 시대 한미동맹과 안보_최명상

      미국 제46대 대통령 조 바이든(Joe Biden)은 안토니 블링컨(Antony Blinken)을 국무장관, 로이드오스틴(Lloyd Austin) 前 중부군사령관을 국방장관, 제이크 설리번(Jake Sullivan)을 국가안보보좌관으로 지명했다. 북한 비핵화 협상을 포함한 미국의 대외정...
    Date2021.01.28 Views115
    Read More
  8. 천학지어의 가르침_권오용

      권오용 한국가이드스타상임이사 前 SK(주) PR어드바이저사장   2020년은 참 힘들었다. 캘린더에서 떼어 버리고 싶었다. 나이 에서 빼자는 이도 많았다. 어느 작가는 한 해를 지난 게 아니라 그냥 버텼다고 했다. 맞는 말이다. 대통령은 긴 터널의 끝이 왔다...
    Date2021.01.31 Views94
    Read More
  9. 새해의 간절한 소망

      2021년은 신축년(辛丑年), 하얀 소의 해이다. 흰색은 숭고(崇 高)함, 순결(純潔), 평화(平和)등을 상징한다. 예로부터 하얀 소는성(聖)스러운 동물이라고 한다. 소는 믿음직하고 착하다. 소는 근면하고 성실하다. 소는 인내심이 강하고 검소한 반추(反芻) ...
    Date2021.01.31 Views51
    Read More
  10. 임혜진 / 선한 영향력

    선한 영향력   임혜진 선농문화포럼 부장     우울한 장마가 지루하게 이어지고, 연일 부동산 관련 기사가 지면의 헤드라인을 도배하던 지난 7월 하순 눈에 번쩍 뜨이는 뉴스가 모처럼 시선을 끌었다. 뉴스의 주인공은 카이스트에 총 766억원을 기증한 광원산...
    Date2020.09.12 Views162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