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농칼럼

조회 수 22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칼럼2_1.jpg 

김필규

前 K.P.K 통상㈜회장

선농문화포럼 이사

 

 

40세에 요절한 민중미술의 선구자 오 윤(吳潤)이 서울미대 조소과 를 졸업하고 현실화가로 등장하던 1970년대 초의 한국미술계는 순수 성과 예술지상주의를 절대가치로 주장하던 모더니즘이 주류를 이 루던 시절이었다. 그리고 정치사회활동은 물론 예술활동에도 완전 한 자유가 유보되던 아픈 시절이었다.

 

‘예술은 현실의 반영’ 이라는 굳은 신념 속에 민족의 현실과 사회 상황 에 깊은 관심을 가졌던 오 윤은 분단시대에 살고 있는 의식 있는 지식 인으로서 현실주의 운동에 앞장서며 미술계의 비주류로서 작은 곁방 살이를 감내하면서도 꽁꽁 얼어붙은 시국 하에서도 미술가에게 주 어진 사명이 무엇인가에 대한 해답을 찾으러 현실주의의 깃발을 올 리며 그 정당성을 확신하려는 노력을 멈추지 않았다.

 

칼럼2_2.jpg
춤 II | 오윤

그러나 오 윤은 과격한 다른 민중 예술가들과는 색다른 궤적을 그리고 있었으니 1969년 현실동인전의 후유증으로 3년간 잠적했던 지리산 쌍계사에서 대면한 감로탱화와 신라의 천년고도 경주남산에서 대면한 석탑과 불상에서 받은 영감 그리고 건강이 악화된 1984년 진도로 요양을 떠나 머물던 허유의 화실인 운림산방 인근에 머물며 그곳의 전통문화를 탐구하게 되고 한국의 전통적 소재에서 받은 영감에 민중의 삶의 내면인 슬픔과 소망을 표현하며 힘없고 못 배우고 못가진 사람들에게따듯한 애정을 표현하려 애썼다. 자연히 작품의 소재도 전통 민중 예술인 남사당놀이, 판소리, 인형극, 불화, 탱화, 민화, 농민, 탈춤, 귀농, 이향 등에서 얻어 한국인의 한과 심령 그리고 꿈을 표현하려했으며 특히 진도의 전통예술인 씻김굿(망자의 한을 달래는 굿)에 심취하게 되었다.

서울로 돌아온 오 윤은 새로운 작품들을 선보이며 당당하게 온 국민의 사랑을 받는 민중 예술의 선구자로 자리 잡았다. 그의 민중미술은 보통사람들이 서로 사랑하고 보듬으며 같이 마시고 춤추고 같이 슬퍼하고 위로하고 서로의 상처를 어루만져주는 우리들의 오랜 전통의 한마당이었다. 그리고 그의 작품들에 등장하는 한국의 전통 도깨비들의 익살과 해학을 통해 슬픔마저도 카타르시스 시킬수 있었다. 1996년 학고재에서 열린 그의 10주기 전시회 <동네사람 세상사람>과 2006년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그의 20주기 전시회 <낮도깨비 신명마당>이 바로 그것이었다.

 

요즘 광화문을 가득 채우고 있는 촛불집회에도 오 윤의 후학을 자처하는 민중 미술가들의 작품들이 등장한다고 하는데 개중에는 바라보기도 끔찍스럽다는 작품들도 있다고 한다. 처녀대통령이 출산을 하는데 태어난 아기의 모습이 그의 아버지 모습을 하고 있다니 믿기 어려운 현실임에 틀림없겠다.

 

앞서간 민중 미술의 전설 오 윤은 이렇게 말했다. “미술이 어떻게 언어의 기능을 회복하는가 하는 것이 나의 오랜 숙제였다” 미술에도 언어에도 파격(破格)의 미(美)가 있을 수 있다. 그런데 격의 기본을 갖추지 못한 사람들이 자행하는 파격은 한낱 망발일 뿐일 것이다. 오늘밤 오 윤이 그립다. 

칼럼2_3.jpg

 


  1. 4차 산업혁명과 문화와의 황홀한 만남 / 김진혁

      최근 산업 전반에 걸쳐 최고의 화두는 스위스 다보스 포럼(세계경제포럼,WEF)의 주제인 4차 산업혁명이다. 포럼의 결론은 단순하지만 명확하다. 선진국과 개도국 간의 격차는 지금보다 더 벌어지고, 5년 내 500만개의 일자리가 순감하고 부의 불평등 심화에...
    Date2017.01.23 Views194
    Read More
  2. 요즘 오윤(吳 潤)이 그립다 / 김필규

        김필규 前 K.P.K 통상㈜회장 선농문화포럼 이사     40세에 요절한 민중미술의 선구자 오 윤(吳潤)이 서울미대 조소과 를 졸업하고 현실화가로 등장하던 1970년대 초의 한국미술계는 순수 성과 예술지상주의를 절대가치로 주장하던 모더니즘이 주류를 이 ...
    Date2017.01.23 Views229
    Read More
  3. 한국사회의 갈등과 대립, 어떻게 볼 것인가 / 이경자

        이경자, 경희대학교 명예교수   한국의 사회갈등지수는 OECD 34개 국가 중 5위, 사회갈등 관리 지수는 27 위로 보고된바 있다. 사회갈등 비용이 국내총생산(GDP)의 27%에 달한다고 한다. 한국사회가 갈등관리 능력이 실종된 심각한 갈등사회이고, 그로 인...
    Date2017.01.23 Views113
    Read More
  4. 《동의보감》을 통해 본 삶의 지혜와 비전 - 고미숙

    고미숙 고전평론가     《동의보감》을 모르는 한국인은 거의 없다. 허준의 명성 또한 ‘범국민적’이다. 그만큼 동의보감과 허준이라는 기호는 한국인의 문화적 원형에 가깝다. 하지만 정작 그에 대한 이해는 참 ‘썰렁한’ 편이다. 동의보감은 만병통치의 비서(...
    Date2016.08.29 Views1216
    Read More
  5. 중남미 올바로 이해하기 - 조환복

      중남미 올바로 이해하기     조환복 前멕시코 대사     과거 중남미라고 하면 주기적인 외채위기와 고율의 인플레, 불안한 정치와 함께 광적인 축구열풍, 고대문명, 각종 축제와 카니발 등 낭만적인 이미지를 함께 갖고 있다. 그리고 천연자원이 풍부하고 경...
    Date2016.05.03 Views90
    Read More
  6. 한국 문화유산에 나타난 소통과 화합의 정신 - 이배용

          21세기 지식 기반 사회는 첨단 과학 기술이 다른 학문과 서로 융합해 발전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출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우리는 기존의 질서와 가치관을 끊임없이 재편해 가는 과정에 있다. 글로벌화하는 시대에 당연히 외부로 시선...
    Date2016.05.02 Views86
    Read More
  7. 옛 그림으로 본 선비의 됨됨이와 풍류 - 손철주

    옛 그림으로 본 선비의 됨됨이와 풍류   손철주 미술평론가       옛 그림은 장르에 따라 그리는 비결이 따로 있습니다. 옛 선비들의 됨됨이를 알아볼 수 있는 장르는 초상화이겠 지요. 초상화를 그리는 비결은 무엇일까요. 바로 ‘꼴을 그려 얼을 살리기’랍니...
    Date2016.05.08 Views489
    Read More
  8. 복지국가의 성공조건 - 이인호

          몇 해 전엔가는 ‘웰빙’이라는 말이 갑자기 유행어가 되더니 이제는 야심 있는 정치인들 저 마다가 보다 야심 찬 복지정책을 제시하느라고 서로 다툰다. 작년에 그 문제로 오세훈 서울시장이 임기 전에 시장직을 물러났던 일의 여파인지 마치 무상급식이...
    Date2016.05.02 Views93
    Read More
  9. 미디어환경,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유재천

          사람은 누구나 자연환경과 문화 환경 속에서 산다. 문화 환경은 사람이 만들어 놓은 모든 것이다. 그 가운데서 우리의 일상생활과 가장 밀접한 영역의 하나가 미디어환경이다. KBS의 ‘국민생활시간대조사’에 따르면 평균 한국인이 누리는 하루의 자유시...
    Date2016.05.02 Views101
    Read More
  10. 평화의 길, 유네스코의 어제와 오늘 - 이삼열

          이천시와 전주시, 서울시가 유네스코 창의도시가 되고, 아리랑과, 한산모시, 강강수월래가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 대표 목록에 등재되며, 제주도가 세계 자연유산, 하회와 양동등 역사마을이 세계 문화유산으로 기록되고 훈민정음, 동의보감, 팔만 대...
    Date2016.05.02 Views151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