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의 인물

조회 수 27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작은 달력 속의큰 역사

 

글 남경태 (인문교양서 저술가)

 

 

12월 31일과 1월 1일은 하루 차이지만 그냥 하루가 아니다. 달력의 한 장을 넘기는 정도가 아니라 아예 낡은 달력을 버리고 새 달력을 벽에 거는 날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것은 인위적인 시간의 개념에 불과하다. 2011년 12월 31일보다 2012년 1월 1일이 훨씬 더 추운것도 아니고, 그 사이에 우리 몸이 팍 늙어버린 것도 아니다. 달력이 그렇게 인위적이라면 여기에도 만만찮은 역사가 있을 것이다.

 

천문학이 발달하지 못했던 고대에는 달력을 만드는 것 자체가 쉬운 일이 아니었다. 예나 지금이나 달력의 원래 기능은 날짜를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는 천체의 운동을 잘 관찰해야 하는데, 이건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었다. 고급 지식이기도 했거니와 감히 하늘의 움직임을 알려고 하는 것은 일반 백성들에게허용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1 (8).jpg

그런 이유에서 달력은 국가가 성립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였다. 흔히 고대 국가의 기원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영토의 확정, 중앙집권적 정치체제, 군대 등을 꼽지만 실은 그보다 더 중요한 게 바로 달력이다. 달력이 없으면 정치와 행정 자체가 불가능하다.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달력이 없다면 어느 달 어느 날에 관리들이

모여 회의를 하거나 원정을 위해 군대를 소집할지 결정할 수 없다. 심지어 왕의 생일이나 결혼식 같은 국가적 주요 행사의 날짜가 언제인지도 확정하지 못한다.

따라서 지배자와 백성들, 군대가 고대 국가의 하드웨어라면 달력은 중요한 소프트웨어에 해당한다. 양의중화 문명권에서는 전통적으로 중국 황제가 해의 이름

 

(연호)을 정하고 주변의 속국들에게 중화의 달력을 강요했다. 한반도의 경우에는 674년 신라 문무왕이 중국의 달력을 수입한 것이 공식적인 달력의 시작이다. 물

론 그 이전에도 고대 삼국이 엄연히 국가로서 존재했던 만큼 자체의 달력이 있었지만 후대에 전하지 않아알 수 없다. 다만 일본의 고대 역사서인 <일본서기>에

는 백제의 역학자와 승려가 일본으로 건너가 달력을 전했다는 기록이 있다.

 

달력을 함께 쓴다는 것은 같은 문명권, 나아가 공통의 정치·사회 체제를 가진다는 의미다. 그러므로 한반도에서 중국의 달력을 쓴다는 것은 곧 중국적 질서 안에

 

들어간다는 것을 뜻한다. 그런 의미에서 보면 중국의 달력을 수입함으로써 한반도 역사에서 본격적인 사대주의 시대가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674

년은 ‘사대주의 원년’인 셈이다.

 

이때부터 중국의 제국체제가 최종적으로 무너지는 20세기 초까지 한반도 역대 왕조들은 모두 중국의 달력을 사용하게 된다. 역사 기록은 말할 것도 없고 심지

어 18세기에 성립된 판소리에도 해를 셈하는 단위로 중국의 연호가 사용되었다. 거꾸로 말해 중국식 달력을 쓰지 않았다면 주체적 역사를 가졌다고 볼 수 있는

데, 그 사례가 바로 일본이다. 일본은 8세기 중반부터 중화 문명권에서 벗어나 자체의 달력과 연호를 사용했다. 당시 중국의 당나라가 쇠미의 징후를 보이자 일본

은 기민하게도 견당사(당에 파견하는 사절)를 뚝 끊어 버리고 당풍(唐風)을 국풍(國風)으로 바꾼다. 이 시기에 일본 문자인 가나와 일본 토착 문학인 모노가타리

가 탄생하는 것은 그런 이유다. 일본은 그 뒤부터 달력도 독자적인 천황의 연호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한반도와 일본의 달력이 달랐던 것을 확연히 보여주는 예는 16세기 말의 임진왜란이다. 당시 한반도, 중국,일본의 동아시아 3국이 모두 관련된 전쟁이었으나 명

칭은 각기 다르다. 독자적인 연호를 쓰지 못했던 조선은 간지를 이용해 그 전쟁을 임진왜란이라고 기록했지만, 중국사에서는 ‘만력(萬曆, 당시 명나라 황제 신종의 연호)의 역(役, 전쟁)’, 일본사에서는 ‘분로쿠(文祿,당시 일본 천황의 연호)의 에키(役)’라고 각기 다르게 부른다.

 

서양의 역사에서도 달력은 정치, 종교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고대 로마의 지배자 카이사르가 수백 년간누적되어온 태양력의 오차를 한 번에 해소하고 율리우스력을 만든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비록 꿈꾸던 제위에 오르기 직전에 암살당했지만 정치적 후각이 남달랐던 카이사르는 로마의 원시적 공화정을 제국으로 업그레이드하기 위해서는 달력의 제정이 시급하다는 것을 익히 알고 있었다.

 

 

달력이 서양의 역사에서 결정적으로 중대한 역할을 한것은 중세 내내 여러 차례 소집된 공의회에서 확인된다. 공의회는 원래 종교적 사안을 처리하기 위해 소집된 회의였으나 달력을 정비하는 것도 늘 주요 안건이었다. 무엇보다 성인들의 축일을 확정해야 했기 때문이다. 그 가운데 으뜸은 물론 그리스도가 부활한 날,즉 부활절의 날짜를 확정하는 일이었다(18세기까지도 기독교권에서 부활절은 성탄절보다 중요한 축일이었다). 그게 뭐 어려운가 싶겠지만 부활절의 ‘정의’를 보면 까다로울 수밖에 없다. 춘분이 지나고 첫 보름달이 뜬 다음에 오는 일요일이 부활절의 공식적 정의인데, 춘분은 양력이고 보름은 음력인데다 요일이라는 자의적인 기준까지 포함되므로 날짜를 확정하기가 쉽지 않다. 그런 탓에 오늘날까지도 부활절 날짜는 매년 달라질 뿐 아니라 가톨릭교회와 동방정교회 사이에도 불일치가 여전히 남아 있다. 그래도 중세 공의회에서 부활절 논쟁이 활발하게 벌어진 덕분에 유럽 세계에서는

천문학과 수학이 크게 발달했으며, 율리우스력이 개정되어 오늘날까지 사용되는 그레고리력이 탄생했다.

 

옛날에는 그랬어도 지금은 누구나 똑같은 달력을 쓰는데 달력이 뭐 중요할까? 하지만 알고 보면 그렇지 않다. 달력은 예나 지금이나 주권국가의 상징이다. 서기2012년은 단군기년으로 보면 4345년이고, 공자기년으로는 2563년이며, 불기(佛紀)로는 2556년, 이슬람력으로는 1391년에 해당한다.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남의 달력을 가져다 쓴 것 때문에 우리 역사에는 수십 일간의 공백이 있다. 1895년 조선의 고종은 일본의 압력으로 양력을 사용하기로 하고 그해의 음력 11월 17일을 1896년 1월 1일로 고쳤다. 문제는 그 때문에 1895년 11월 18일부터 그해 말까지의 날들은 우리 역사에 ‘존재하지 않는 기간’이 되었다는 점이다. 이를테면 1895년 11월 25일에 한반도에서는 아무런 일도 없었고, 1895년 12월 7일에 태어난 사람은 없다! 달력의 주권이 없었던 탓에 빚어진 이 웃지못할 역사의 공백은 앞으로도 영원히 바로잡을 수 없을 것이다.

 


  1. 중국의 문화코드 - 장공자

        현대중국의 대표적인 석학 린위탕(林語堂)은 중국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중국의 문자(漢字)와 만리장성 그리고 멘즈(面子:체면)를 알지 않으면 안 된다고 했다. 이 세 가지는 유형과 무형의 중국문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
    Date2016.04.11 Views221
    Read More
  2. ‘간도(間島)’땅을 지킨 이중하를 아시나요 - 허정균

            근래에 들어 중국의 동북공정과 일본의 독도 등 한·중·일 3국간에 영토문제가 뜨거운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분단국가가 된 이후 중국과 우리 민족과의 가장 중대한 간도문제는 거론되는 일이 없다. 간도(間島)는 중국 동북부의 한국...
    Date2016.04.11 Views254
    Read More
  3. 비판의 시선으로 보는 한국사 - 남경태

          강국의 조건이라면 보통 땅과 사람을 꼽는다. 그러나 실은 그 두 조건보다 더 중요한 게 역사다. 땅이 좁고 사람이 적어도 강국인 나라가 있고, 반대로 땅이 넓고 사람이 많아도 강국이 되지 못하는 나라가 있다. 그렇게 보면 한국이 강국의 조건에서 ...
    Date2016.04.11 Views133
    Read More
  4. 작은 달력 속의 큰 역사 - 남경태

    작은 달력 속의큰 역사   글 남경태 (인문교양서 저술가)     12월 31일과 1월 1일은 하루 차이지만 그냥 하루가 아니다. 달력의 한 장을 넘기는 정도가 아니라 아예 낡은 달력을 버리고 새 달력을 벽에 거는 날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것은 인위적인 시간의 ...
    Date2016.04.11 Views271
    Read More
  5. 미지(未知)에의 도전(挑戰) - 주돈식

          우리역사를 되돌아보면 우리 조상들이 너무 안이하게 살았다는 데에 화가 난다. 여기엔 큰 두 가지 사실을 상기하지 아니할 수 없다.   그 첫째는 오끼나와섬 문제다. 지금은 오끼나와로 불리며 세계 제2차 대전 이후 일본의 중요한 전략 포인트가 되어...
    Date2016.04.11 Views55
    Read More
  6. 혁명(革命)이 없었던 역사 - 남경태

        혁명(革命)이 없었던 역사   서양보다 강력한 중앙집권적 체제와 안정된 사회를 이루었던 동양사회! 이것이 세계 문명의 선두주자로 군림했던 이유이자 그 자리를 서양에 내주게 된 이유다.   글 남경태 (인문교양서 저술가)         사자와 호랑이가 싸...
    Date2016.05.02 Views87
    Read More
  7. 대한제국이 멸망하던 날, 마지막 어전회의 - 김무일

      대한제국이 멸망하던 날, 마지막 어전회의   글 김무일 前 현대제철 부회장 선농문화포럼 이사     숱한 외적의 침입과 전란을 겪으면서도 500여년을 맥맥히 이어온 帝國의 운명이,하루아침에 역사의 뒤안길로 허망하게 사라지는 것도 한 순간이었다. (1975...
    Date2016.05.02 Views434
    Read More
  8. 역사가 바뀔 수 있나? - 이종욱

    역사가 바뀔 수 있나? 글 이종욱 (서강대학교 총장)     역사학자들은 진리만을 이야기할까? 결코 그렇지 않다. 하나의 예를 들어보자. 660년 백제를 정복한 신라의 왕 김춘추 (생존기간 603~661, 왕위재위기간 654~661)에 대한 역사가들의 이야기를 볼 수 있...
    Date2016.05.02 Views180
    Read More
  9. 1004명이 들려주는 가야금 소리 - 문재숙

        기네스 기록에 도전 동북공정에 대항하는 문화전사   백두산을 장백산으로 부르고, 고구려 천리장성도 만리장성으로 편입시키려하고, 윤동주 시인을 중국 시인(조선족 애국시인)이라고 주장하는 중국을 보노라면, 동북공정의 끝은 어디일까 불안하다. 가...
    Date2016.05.02 Views326
    Read More
  10. ‘행복한 이유가 있지요’ - 김현숙

    장애, 비장애아 친구 맺기... 베스트버디스 전시회와 음악회... ‘행복한 이유가 있지요’ 아이코리아 김태련 회장 인터뷰       김태련 회장은 요즘 어느 때 보다도 즐거운 나날을 보내고 있다. 베스트버디스 코리아의 장애-비장애아 친구 맺기 사업이 국내외적...
    Date2016.05.02 Views96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